[국제] '운명의 9월' 맞이하는 日 이시바…여론은 "…

본문

대형 선거 연패로 퇴진 위기에 놓여있는 일본 이시바 시게루(石破茂) 총리가 ‘운명의 9월’을 맞이할 전망이다. 집권 여당인 자민당이 총재 선거를 앞당길지를 놓고 9월 초 결정 방식을 정할 것으로 알려지면서다. 이시바 총리와 호흡을 맞춰온 모리야마 히로시(森山裕) 간사장의 진퇴 여부 역시 참의원(상원) 선거 검증 후 이뤄질 것으로 전해지면서 이시바 총리의 거취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시바 정권의 운명을 가늠할 움직임을 3개로 정리해봤다.

17561100202676.jpg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 AP=연합뉴스

①여론은 “사임 필요 없다”

먼저 여론은 이시바 총리의 편이다. 지난해 10월 출범한 뒤 치른 중의원(하원) 선거, 올해 6월의 도쿄도의원 선거, 7월의 참의원 선거까지 참패하면서 일본 정계에서 이시바 총리의 ‘책임’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진 것과는 정반대 분위기다. 요미우리신문(22~24일) 조사에선 이시바 총리 지지율이 39%로 전월 대비 17% 포인트나 상승하는 기현상을 보였다. 앞선 마이니치신문 조사(23~24일)에서도 지지율은 33%로 전월 대비 4% 포인트 올랐다. 요미우리 조사에서 이시바 총리가 ‘사임해야 한다(42%)’는 답보다 ‘사임할 필요 없다(50%)’는 응답이 우세했다. 의원내각제인 일본에선 선거에 참패하면 총리가 물러나는 것이 수순이지만 7월 선거 패배 이후 전세가 역전된 것이 눈에 띈다. 이시바 총리 사임을 반대하는 집회가 총리 관저 인근에서 열릴 정도로 ‘자민당 보수화’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많은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연임 의지를 불사르고 있는 이시바 총리는 탄력을 받는 모양새다. 일본의 패전일이자 종전 기념일인 지난 15일 이시바 총리는 정적인 아베 신조(安倍晋三) 전 총리와 다른 노선을 걸었다. 추도사에서 아베 정권 이후 사라진 ‘반성’이란 단어를 13년 만에 꺼내 들었다. 최근엔 오는 9월 2일 일본의 정전협정 조인에 맞춰 총리 메시지를 내놓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일본 언론에 따르면 24일 밤 이시바 총리는 도쿄 시내 음식점에서 고이즈미 준이치로( 小泉 純一郎) 전 총리와 만나 국정 운영방안을 논의했다. 전후 60주년 담화를 내놨던 고이즈미 전 총리로부터 전후 80주년에 맞춘 총리 견해에 대한 조언을 들은 것으로 전해졌다.

17561100204976.jpg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지난 23일 일본 총리 관저에서 이재명 대통령을 맞이하고 있다. 교도=연합뉴스

② 외교 성과 내세우는 이시바

자민당 보수파를 중심으로 퇴진 목소리가 커진 가운데 외교는 이시바 총리의 무기가 되고 있다. 이시바 총리는 지난 23일 한·일 정상회담을 한 데 이어 25일엔 리셴룽 전 싱가포르 총리, 29일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와의 회담을 앞두고 있다. 요미우리는 특히 29일 정상회담에서 인도와 17년 만에 안전보장 협력에 관한 공동선언을 개정할 예정이라고 정했다. 중국을 겨냥해 인도와의 경제 협력을 강화하는 것이 골자가 될 전망이다.

이후에도 외교 일정이 빡빡하게 이어진다. 9월 이탈리아 총리 방일, 유엔총회 연설,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관련 정상회의가 있다. 이 대통령과 협력하기로 약속한 경주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도 있다. 총리만이 할 수 있는 외교 일정은 이시바 총리의 사퇴 불가론에 힘을 실어줄 수 있는 요소다.

③심상찮은 자민당 내 움직임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시바 총리의 정권 유지는 순탄치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우선 자민당 내부 상황이 만만치 않다. 참의원 선거 패배 원인을 검증하는 총괄보고서 완성이 9월 초순엔 이뤄질 예정이다. 보고서가 나오게 되면 책임론이 다시 한번 커질 전망인데, 이때 모리야마 간사장의 진퇴도 이뤄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대안이 부재한 가운데 야당과의 정책 협의를 이끌며 이시바 정권을 지탱해온 모리야마 간사장이 사퇴하게 되면 이시바 정권에도 타격을 줄 수 있다.

위기로 작용하는 것은 또 있다. 보수파 의원들을 중심으로 ‘이시바 끌어내리기’ 움직임이 활발한 가운데, 자민당 총재 선거를 앞당길지를 놓고 ‘투표 방식’이 오는 9월 윤곽을 드러낼 예정이다. 이른바 ‘리콜’ 규정에 따라 총재 선거를 앞당기기 위해선 소속 의원 및 지역조직 대표 절반 이상의 찬성이 필요하다. 다만 반(反) 이시바 세력이 무기명 투표를 원하는 가운데 현재까지는 기명 투표에 무게가 실리고 있는 점은 이시바 총리로선 반가운 면이다.

17561100207459.jpg

South Korean President Lee Jae Myung, left, and Japan's Prime Minister Shigeru Ishiba shake hands at joint press announcement after the summit in Tokyo, Saturday, Aug. 23, 2025. (Kim Kyung-Hoon/Pool Photo via AP) POOL PHOTO〈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시라토리 히로시(白鳥浩) 호세이(法政)대 대학원 교수는 “최근 이시바 총리 지지율이 상승한 것은 외교 측면 요소가 강하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지켜봐야 하는 것은 일시적인 지지율 상승이 아니라 지지하지 않는다는 약 50%에 달하는 부동층의 변화”라고 지적했다. “지지율이 올랐다고 해도 30%대에 불과해 일시적으로 자민당 보수화에 대한 우려로 올랐을 수 있다”는 설명이다. 시라토리 교수는 “현재 상황(소수여당)에서는 그 어떤 법안 통과가 불가능한 상황”이라며 “선거 총괄 보고서 이후 자민당 내 책임론이 다시 나오면서 총재 선거를 앞당기게 될지 여부가 이시바 정권 거취 문제를 가를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日 "李방일, 기쁜 서프라이즈"…이시바 지지율 반년만에 30%대 회복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354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