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위고비 처방 8개월간 40만건…정상체중 오남용 사례도 여전

본문

A씨(35)는 지난 5월 목디스크 때문에 재활의학과 의원을 방문했다가 비만치료제 ‘위고비’ 홍보 문구를 목격했다. 다이어트에 관심 있던 그는 진료 중 “나도 맞아도 되냐”고 물었다. 의사는 별말 없이 처방전을 써줬다고 한다. 키 164㎝, 몸무게 56㎏인 여성 A씨는 체질량지수(BMI·몸무게(㎏)/신장(m)의 제곱) 21 안팎인 정상 체중이다. 하지만 그는 “부작용 안내를 받지 않았고, 비만 환자에 쓰는 약인지도 몰랐다”고 말했다. 결국 한 달 정도 사용하다 메스꺼움 증상이 너무 심해 사용을 그만뒀다.

국내 비만치료제 시장이 급성장하는 가운데, 위고비 처방이 국내 출시 8개월여 만에 40만건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적절한 비만 치료를 넘어 과잉 처방되고 오남용하는 사례도 적지 않아 허가된 용법에 따라 신중히 사용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17561423841599.jpg

신재민 기자

25일 김선민 조국혁신당 의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0월~올해 6월 의약품안전사용서비스를 통한 위고비 처방전 수는 39만5384건이다. 국내 출시된 지난해 10월 처방이 1만1368건이었지만, 지난 5월엔 8배에 가까운 8만8895건으로 늘었다.

위고비 처방 증가는 주사형 비만치료제 시장의 가파른 성장세를 보여준다. 최근엔 또 다른 비만치료제인 ‘마운자로’도 한국에 상륙했다. 이날 ‘마운자로 품절’ 안내문을 써 붙인 서울의 한 의원에선 “약국 물량이 없어 9월 초까진 기다려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오남용 우려도 함께 커진다. 위고비는 BMI 30 이상인 비만 환자나 BMI 27~30이면서 고혈압 등의 동반 질환이 있는 과체중 환자에게 처방하는 게 원칙이다. 그러나 다이어트를 돕는 미용 목적으로 잘못 알려지면서 마른 사람이 살 빼려고 처방받거나 환자가 임의로 용량을 조절하는 경우도 많다.

이날 오후 ‘위고비 성지’로 알려진 서울 시내 한 의원엔 보통 체형 여성 3명이 위고비 처방을 받으려 앉아 있었다. 한 여성은 “고용량 처방이 되냐”고 접수 데스크에 먼저 물었다. 온라인엔 고용량 약을 처방받아 여러 명이 나눠 맞는 사례도 올라온다. 오상우 동국대일산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위고비는 지금껏 나온 비만 치료제 중 가장 안전한 편이지만, 정해진 용량을 지키지 않고 막 쓰는 건 위험하다”고 지적했다.

처방 대상인 비만 환자가 써도 구토·설사 등의 이상 반응이 적지 않고, 심하면 급성 췌장염·담석증이 나타날 수 있다. 마른 사람이 사용하면 근육 손실 등의 우려도 크다. 조영민 서울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교수는 “10~30%는 메스꺼움·구토 등 위장관 장애, 1~2%는 담낭 관련 질환을 겪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해외 직구나 개인 간 온라인 판매를 통해 구매하는 것도 피해야 한다”고 밝혔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381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