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애마’ 이해영 감독 “노출 수위는 ‘애마부인’에 맞춰…안소영에 영감 받아”

본문

17561892508104.jpg

22일 넷플릭스에서 공개된 '애마'는 이해영 감독의 첫 드라마 연출작이다. 사진 넷플릭스

1980년대 한국 영화계를 흔든 화제작 ‘애마부인’이 40여 년 만에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애마’로 되살아났다. 그 시대의 성인영화 제작기를 재현한 것은 아니고, 2025년 여성의 시각으로 재해석한 픽션이다.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애마’ 이해영 감독 인터뷰

영화 ‘천하장사 마돈나’(2006), ‘독전’(2018)을 통해 자신만의 색깔을 구축해온 이해영 감독(51)의 첫 시리즈 연출작이다. 그는 1980년대 충무로를 배경으로 한 영화를 제작하면서 5~6개월 간 자료조사를 하고, 당시의 많은 영화인을 만나 도움을 받았다.

26일 서울 종로구 북촌에서 만난 이 감독은 “영화라는 두 시간 분량 영상물에 익숙했던 머릿속 퍼즐이 여섯 조각으로 늘어나는 새로운 경험이었다. 1980년대 영화산업 고증을 위해 논문도 보고 충무로를 많이 돌아다녔다. 신인 감독의 마음으로 많은 에너지를 쏟았다”고 고백했다.

그 시절 많은 영화 중 ‘애마부인’을 내세운 것에 대해선 “성인영화 트렌드를 처음 열었던 신호탄 같은 작품이었다”며 ‘애마부인 1’(1982)의 주인공 안소영에게 많은 영감을 받았다고 털어놨다. 안소영은 ‘애마’ 6부에 감초 역할로 등장하기도 한다. 이 감독은 “선배님(안소영)의 작품과 출연하신 여러 다큐멘터리를 보고 작품의 메시지를 떠올렸고 많은 영감을 얻었다”고 감사인사를 전했다. 다음은 이 감독과의 일문일답.

17561892510795.jpg

이해영 감독이 '애마' 촬영장에서 극 중 톱스타 정희란 역을 맡은 배우 이하늬와 소통하고 있다. 사진 넷플릭스

글로벌로 소구할 소재가 아니라는 시선에도, 이 이야기를 하고 싶었던 이유는.
“남성과 여성의 ‘섹시함’이 다르게 소비되던 시대였다. 남성은 국가적 이미지와 연결됐지만 여성은 타락과 불온의 상징으로 여겨졌던 그 대비가 흥미로웠다. 또 3S 정책으로 성 영화가 장려되면서도 강력한 심의로 표현은 억압 받았다. 그 모순이 인상적이어서 18년 전부터 시놉시스로 정리해둔 이야기다.”
1980년대 충무로를 소재로 꺼내며, 선후배 영화인들의 시선이 신경쓰인 적은 없나.
“그래서 더 열심히 공부했다. 다행히 유명한 대선배 감독님이 ‘너무 잘 봤다. 1980년대 영화계를 소환해 이야기를 잘 만들어줘서 고맙다’고 연락을 주셨다. 큰 응원을 받았다.”
본인도 1980년대 성 영화를 본 적이 있나.
“당시 초등학생이라, ‘애마부인’ 시리즈의 팬이라고 말할 순 없다. 가장 처음 본 시리즈는 ‘파리 애마’(1988)다. 중학생 때 보안이 허술한 극장에서 동시상영할 때 보고, 사춘기 시절의 지대한 임팩트로 남았다.”
17561892513108.jpg

이해영 감독은 신인 방효린을 캐스팅하며 "보석같은 매력이 있었다"고 극찬했다. 사진 넷플릭스

노출 수위에 대한 고민은 없었는지.
“처음부터 끝없이 고민했다. 원작 ‘애마부인’을 보면 지금 관객들이 놀랄 정도로 노출이 거의 없다. 그래서 기준을 원작보다 더 나아가지 않는 선으로 잡았다. 극 중 곽인우 감독(조현철)의 대사처럼 ‘직접 노출보다 간접적 연출을 통해 노출한 효과’를 내려고 했다.
곽 감독 캐릭터는 본인을 투영한 것인가.
“한국 영화의 다음을 기약하는 인물로 순수하게 남길 바라며 만들었다. 작품이 공개되고 제3자의 시각으로 보니 내 모습이 일부 투영됐다는 느낌을 받기도 했다.”
이하늬를 주연으로 처음부터 낙점하고 작품을 썼다고.
“이하늬가 아니면 엎는다는 생각으로 글을 썼다. 그래서 정희란 캐릭터를 이하늬를 위한 오트쿠튀르 드레스처럼 한 땀 한 땀 설계해 나갔다. 이하늬가 만삭의 몸으로 제작발표회와 인터뷰에 나서는 걸 보면서 큰 감동을 받았다. 배우로서도 정희란과 닮은 단단한 사람이란 생각이 들었다.”
정희란이 여배우 성 착취를 고발하는 후반부 장면에선 어떤 메시지를 주고 싶었나.
“자신만의 작은 성취를 해내는 정도의 클라이맥스를 구상했다. 그 클라이맥스는 말을 타는 것으로 표현했다. 벌판에서 알몸으로 말을 타는 ‘애마부인’ 시그니처 이미지가 남성 관객들의 욕망을 대변한다면, 우리 작품에선 이 장면의 변주로 시대를 역행하는 쾌감을 줘야만 했다.”
17561892515794.jpg

이해영 감독은 "대중이 '실제로 얼마나 노출이 있어?' '야해?' 이런 질문을 많이 하는데, 노출 수위는 1982년 '애마부인'을 기준으로 삼았다. 노출 여부보다 중요한 건 여성의 욕망을 카메라에 잘 담아내는 것"이라고 말했다. 사진 넷플릭스

방효린은 어떻게 캐스팅됐나.
“섹시한 첫인상은 아니면서도 내공을 가진 배우를 찾기 위해 2500명 가까이 오디션을 봤다. 기술적인 연기가 아니라 자기 방식대로 진심을 표현하는 모습이 좋았다.”
진선규를 악역으로 내세운 점도 독특하다.
“인간적인 면모가 있는 배우라서 질 나쁜 악역을 맡았을 때 새로운 얼굴이 나올 것이라 기대했다. 역시나 최고의 연기를 선보여 현장 스태프들이 기립박수를 보내기도 했다.”
1980년대를 고증하기 위해 노력한 요소는 무엇인가.
“색감과 조형이 과시적이고 뽐내는 미학의 시대였다. 그래서 화려하고 과감하게 색을 넣었다. 이은하 ‘아리송해’·나미 ‘영원한 친구’·윤시내 ‘열애’ 등 당대를 상징하는 삽입곡을 고심해서 넣었다.”
이 작품이 어떻게 기억되길 바라는지.
“‘낙관만 하기엔 세상은 힘들고, 부조리함이 세상의 본질이 아닐까’라는 시대적 공감대가 있을 것 같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희망을 찾고 웃음을 찾는 사람들의 이야기다. 잘 버티며 살고 있는 본인 이야기라고도 느껴주셨으면 한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585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