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9월 모평 사탐 응시율 15년 내 최고…작년보다 10만명↑, '사탐런&a…
-
3회 연결
본문

지난 21일 대구시교육청 대회의실에서 수험생들이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응시 원서를 쓰고 있다. 뉴스1
다음 달 3일 치러지는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9월 모의평가에서 사회탐구 영역에 응시하는 수험생 비율이 15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할 전망이다. 이른바 ‘사탐런’ 현상이 예년보다 거세지면서 과학탐구 수능 점수 예측이 어려워질 가능성이 크다.
26일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발표한 ‘9월 모의평가 지원 현황’에 따르면 사회탐구 영역 응시자는 39만1449명으로 61.3%를 차지했다. 종로학원은 이러한 응시 규모가 9월 모의평가 기준 15년 만에 최고치로 분석했다. 사회탐구 응시 비율은 2012학년도에 60.9%를 기록한 이후 줄곧 50%대를 맴돌았다.
올해 사탐 응시율은 지난해(53.2%)와 비교하면 8.1%포인트 상승했다. 응시인원으로 따지면 10만1028명 늘었다. 반면 올해 9월 모의평가 과탐 응시율은 38.7%(24만7426명)에 그쳤다. 이로인해 특히 과탐에서 수시 수능 최저기준 충족이 어려워지고, 정시 점수 예측도 힘들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2023~2026학년도 수능 9월 모의평가 지원 현황. 과학탐구 영역 응시생 대비 사회탐구 지원한 학생 비율이 높아지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사진 교육부
이번 9월 모의평가에 지원한 수험생은 총 51만5900명으로 재학생은 41만210명, 졸업생 등은 10만5690명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9월 모의평가와 비교하면 총지원자 수는 2만7608명 늘었다. 재학생이 2만8477명 증가한 가운데 졸업생 등 수험생은 869명 감소했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이번 9월 모평에 응시하는 졸업생 규모가 작년보다 다소 줄긴 했지만 사실상 지난해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봐야 한다”고 말했다.
9월 모의평가는 오는 11월 13일 시행되는 2026학년도 수능 출제 방향 등을 가늠할 수 있는 시험이다. 올해는 9월 3일 오전 8시 40분부터 전국 2154개 고등학교(교육청 포함)와 533개 지정학원에서 치러진다.
한편 이날 시민단체 사교육걱정없는세상(사걱세)는 백승아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국회 소통관에서 ‘수능 킬러문항 방지법 제정에 대한 대국민 인식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사걱세가 리얼미터에 의뢰해 전국 18세 이상 성인 100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조사에서 76.3%가 수능에서 킬러 문항을 출제하지 않는 데 찬성한다고 응답했다. 킬러문항은 교과 범위를 벗어난 초고난도 문제를 의미한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