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머스크의 화성우주선 스타십, 10차 지구궤도 시험비행 성공

본문

1756257597525.jpg

26일(현지시간) 텍사스주에 위치한 스타베이스에서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이끄는 우주기업 스페이스X의 대형 우주선 스타십 10차 무인 지구궤도 시험 비행이 진행됐다.AP=연합뉴스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우주기업 스페이스X가 26일(현지시간) 화성 탐사를 목표로 개발 중인 대형 우주선 스타십(Starship)의 10번째 무인 지구궤도 시험비행을 무사히 마쳤다. 모의위성 8기 배치도 성공했다.

스타십은 이날 오후 6시 30분(한국시각 27일 오전 8시30분) 텍사스주 보카치카 해변의 스타베이스 기지에서 지구 저궤도를 향해 발사됐다. 각각 지상 시스템 문제, 기상 악화로 발사가 24·25일 두 차례 연기된 이후 세 번째 도전이었다.

이날 발사는 순조로웠다. 1단 슈퍼헤비는 발사 7분 후 멕시코만 해상, 2단 스타십은 최고 고도 190km에서 최대 시속 2만6000km의 속도로 지구를 거의 한 바퀴 돌아 발사 1시간 6분여 만에 인도양 해상에 안착했다.

이날 발사에서 스타십은 저궤도 인터넷위성 스타링크와 크기가 같은 모의 위성 8기를 탑재해 준궤도에 배치하는 실험도 성공했다. 발사 후 약 19분 시점에서 스타십은 탑재된 위성을 하나씩 우주로 내보내기 시작했고, 8기 모두 안정적으로 배출했다. 위성배치 성공으로 스타십이 자사 주력 발사체인 ‘팰컨 9’를 대신해 위성 발사 임무를 수행 가능하다는 것이 확인됐다. 다만 위성 모형은 우주 궤도에 머물지 않고, 스타십 본체와 마찬가지로 준궤도 비행을 마친 뒤 발사 약 한 시간 후 인도양에 떨어졌다.

스페이스X는 올해 1월 7차 비행, 3월 8차 비행, 5월 9차 비행에서 같은 실험을 추진했지만, 앞선 두 차례는 폭발로 무산됐고 9차 비행은 기술적 문제로 건너뛰었다.

17562575977152.jpg

26일(현지시간) 텍사스주에 위치한 스타베이스에서 발사된 대형 우주선 스타십이 우주로 향하고 있다. AP=연합뉴스

머스크는 인류를 화성에 보내 거주할 수 있게 한다는 목표로 2002년 스페이스X를 설립하고 20여년간 로켓과 우주선을 개발해 왔다.

스타십 본체인 우주선은 길이 52m, 직경 9m로 내부에 사람 100명과 화물 100t가량을 적재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으며, 1단부인 역대 최강 로켓 슈퍼헤비(길이 71m)와 합체하면 발사체 전체 길이는 123m에 달한다.

스페이스X는 2023년 4월부터 스타십에 사람을 태우지 않은 무인 상태로 지구궤도 시험비행을 시작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785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