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산재? 길들이기?…'재계 6위' 포스코 또 사절단 빠졌다, 왜
-
3회 연결
본문

서울 삼성동 포스코 사옥 전경. 뉴스1
25일(현지시간) 한·미 정상회담에 동행한 경제사절단에서 유독 빈 자리가 눈에 띄었다. 자산 규모 기준 재계 6위 포스코다.
삼성전자·SK·현대차로 이어지는 재계 10대 그룹 총수 중 사절단에서 빠진 건 포스코가 유일했다. 재계 12위 한진, 14위 CJ, 15위 LS, 18위 두산 총수도 총출동했다. 재계 5위 롯데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와튼스쿨 동문인 김상현 롯데그룹 부회장을 보냈다. 재계 30위권 고려아연도 동행했다. “정부가 장인화 포스코 회장을 의도적으로 패싱(passing·건너뛰기) 한다”는 우려가 나오는 배경이다.
이 같은 우려가 나오는 건 단지 이번 경제사절단에서 빠졌기 때문만은 아니다. 지난 6월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한 뒤 이어진 5대 그룹 총수, 경제 6단체 회장 간담회엔 재계 6위란 이유로 빠졌다. 7월 미국과 관세 협상을 앞두고 대통령과 재계 총수 연쇄 회동에서도 제외됐다. 지난 15일 서울 광화문에서 열린 대통령 국민 임명식에서도 마찬가지였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경제사절단은 철저히 실무 위주로 편성했다”고 설명한다. 포스코 관계자는 “최근 안전사고에 총력 대응하느라 여력이 없다”고 해명했다.
포스코에 최근 들어 악재가 겹치긴 했다. 포스코 광양제철소와 계열사인 포스코이앤씨에서 올해 들어서만 5명의 산업재해 사망자가 나왔다. 재계에선 현 정부가 산재를 엄하게 다루는 상황에서 포스코가 ‘시범 사례’로 도마 위에 올랐다고 본다. 장인화 회장이 22일 그룹 안전 특별점검회의를 주재하는 등 포스코 입장에선 비상 상황이다.
과거에도 정권이 바뀐 전후로 경제사절단이나 해외 정상 국빈 만찬, 대통령과 재계 총수 회동에서 포스코가 제외된 경우가 반복됐다. 포스코는 2000년 민영화했지만, 회장을 선임할 때마다 정부 입김에서 벗어나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정권 초마다 ‘길들이기’를 반복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하지만 철강 산업은 이런 논란이 무색해질 만큼 근본적인 위기에 처해 있다. 철강은 별명대로 ‘산업의 쌀’이다. 자동차·조선·건설 등 후방 산업을 이끄는 제조업 공급망의 축이다. 하지만 중국에 치여 ‘빅 3(포스코·현대제철·동국제강)′ 공장마다 가동 중단에 들어갔다. 트럼프 정부가 출범한 뒤 상호관세(15%)보다 월등히 높은 품목 관세(50%)까지 두드려 맞았다. 지난달 한국의 대미 철강 수출량은 18만8439톤(t)에 그쳤다. 1년 전보다 21.5% 급감했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포스코 패싱은 단순히 포스코로 끝날 문제가 아니다”라며 “만약 국내 철강 산업이 무너져 주도권이 중국으로 넘어간다면 안보 차원에서도 심각한 문제”라고 우려했다. 이어 “정부가 포스코가 아닌 ‘철강업’의 위기로 시야를 넓혀 석유화학처럼 철강 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