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한국 만난 건 기적이었다
-
2회 연결
본문

의사로서 한국에서 다시 만나기로 약속하는 신홍경 분당서울대병원 교수(오른쪽)와 몽골 의대생 환자 엥흐진. [사진 분당서울대병원]
교통사고로 장기 손상과 한쪽 다리 절단이란 시련을 겪은 몽골 의대생이 한국에서 새 삶을 얻었다.
분당서울대병원은 27일 “몽골 국립의대생 엥흐진(19)이 지난달 1일 다발성 장기 손상에 대한 수술을 성공적으로 받은 뒤 16일 건강하게 퇴원했다”고 밝혔다.
엥흐진은 지난해 9월 의대에 갓 입학했을 무렵 교통사고를 당했다. 사고로 위·폐·췌장·비장 압착과 내출혈, 골반·대퇴골 골절 등 중상을 입은 그는 몽골에서 네 차례 대수술을 받았다.
이 과정에서 발생한 패혈증 때문에 왼쪽 무릎 위를 잘라내야 했다. 같은 해 10월 중국으로 가서 치료를 이어갔지만, 수술이 여의치 않아 결국 지난 4월 몽골로 귀국했다. 엥흐진은 “몽골과 중국에선 더는 받아준다는 병원이 없어 치료를 포기할 수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절망에 빠진 그의 ‘마지막 희망’은 한국이었다. 엥흐진은 사고 9개월 만인 지난 6월 19일 분당서울대병원에 입원했다. 당시 그의 상태는 위태로웠다. 복벽(배 안 앞쪽의 벽)은 제대로 봉합되지 못한 채 열려 있었고, 소장과 연결된 장루(인공 항문)에 영양 공급과 배변을 의존했다.
수술을 맡은 응급외상중환자외과 신홍경 교수팀은 엥흐진의 손상된 장기를 복원하고 기능을 잃은 위장관을 정교하게 연결해 복벽을 재건했다. 스스로 식사와 배변이 가능하도록 장기 구조를 완벽하게 복원했고 장루도 제거했다. 수술 후 집중 치료를 받은 엥흐진은 일반 식사가 가능할 만큼 회복했고, 감염 징후 없이 건강하게 퇴원했다. 신 교수는 “개복한 배를 봉합하지 못한 채 타국을 찾아온 환자 모습이 안타까웠다”며 “좋은 결과로 퇴원시킬 수 있어 의료진 모두가 보람을 느낀다”고 말했다.
현재 엥흐진은 의족을 착용하고 다시 걷기 위한 재활 치료를 받고 있다. 2주 후 두 발로 걸어 몽골로 돌아갈 예정이다. 그는 “스스로 식사하고 한 걸음씩 걷게 돼, 새 삶을 사는 기분”이라며 “한국에서 의사가 되겠다는 꿈을 다졌다. 언젠가 분당서울대병원에서 연수와 펠로(전임의) 과정을 밟을 것”이라고 밝혔다.
분당서울대병원 관계자는 “한국 의료가 단순한 치료를 넘어 삶의 회복이라는 기적을 선물한 것”이라며 “K-의료의 저력을 보여준 상징적인 장면”이라고 말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