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나이스 펜" 그냥 농담 아니다, 트럼프 녹인 '이재명…

본문

17563259647916.jpg

이재명 대통령(왼쪽)이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백악관 오벌 오피스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한미정상회담을 하고 있다. 사진 대통령실사진기자단

지난 25일(현지시각) 열린 한·미 정상회담이 소기의 성과를 거뒀단 평가가 나온 배경엔 ‘이재명 모먼트’가 있었다. 회담장의 기류, 두 정상 간 케미스트리를 바꾼 순간들이다.

이번 회담에서 가장 인상적인 순간을 묻자 한·미 외교안보 및 통상 전문가 상당수는 이재명 대통령이 ‘페이스메이커’를 자임하며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에게 ‘피스메이커’를 요청한 장면을 꼽았다.

이 대통령은 한·미 정상회담에서 “이(한반도 평화) 문제를 풀 수 있는 유일한 인물은 트럼프 대통령”이라며 “대통령께서 ‘피스메이커’를 하시면 저는 ‘페이스메이커’로 열심히 지원하겠다”고 했다. 트럼프는 웃으며 “북한과 관련해 큰 진전을 함께 이뤄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화답했다.

이상규 한국국방연구원 핵안보연구실장은 이를 “양국 정상이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과 전략 동맹 강화에 공감대를 이룬 순간”으로 평가했다.

17563259649943.jpg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5일(현지시간)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이재명 대통령을 맞이하고 있다. 사진 대통령실사진기자단

트럼프가 백악관 앞에 도착한 이 대통령의 어깨에 손을 올리면서 “좋은, 훌륭한 회담을 가질 것”이라고 한 장면도 이목을 끌었다. 정상회담을 3시간 앞두고 “한국에서 숙청 또는 혁명(Purge or Revolution)이 일어나는 것처럼 보인다”(소셜미디어 트루스 소셜)는 트럼프의 돌출 발언으로 긴장감이 고조됐는데 이를 일부 불식했다는 평가다.(김영준 국방대 안전보장대학원 교수)

이와 관련해 트럼프가 이 대통령의 설명을 충분히 들은 것 자체가 인상적이란 평가도 나왔다. 서정건 경희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트럼프가 전형적으로 보이는 ‘일방적 주장’ 패턴과 달리 상대에게 납득 가능성을 열어 놓았다”며 “향후 관계 관리에도 주요한 시사점을 줬다”라고 짚었다.

17563259651896.jpg

이재명 대통령이 25일(현지 시간) 미국 백악관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요청으로 선물한 자신의 서명용 펜. 사진 대통령실

이병철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이 대통령이 회담 때 사용한 펜이 ‘신 스틸’이었다고 분석했다. 당시 이 대통령이 갈색 만년필로 백악관 방명록에 서명하자 트럼프는 펜을 집어 든 뒤 “(도로 한국에)가져가실 겁니까”라고 물었다. 이 대통령은 두 손으로 가져가라는 제스처와 함께 펜을 선물했다.

이왕휘 아주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트럼프가 회담 전 SNS를 올렸을 때와 달리 이 대통령에게 호의를 베풀어야겠다고 생각하고 행동으로 옮겼다는 점에서 인상적이었다”라고 말했다.

트럼프의 ‘중국행 동행’ 제안도 화제가 됐다. 기자의 방중 여부 질문에 답하던 트럼프는 이 대통령에게 “중국에 같이 가는 것이 어떠냐”고 하면서 “같이 비행기를 타면 에너지도 절약하고 좋다”고 했다.

박인휘 이화여대 국제대학원 교수는 “미국은 한·중 밀착을 우려한다고 알려졌는데, 농담조이지만 트럼프 스스로 이를 제안한 건 한·미·중 협조 체제의 중요성과 한국의 입장을 이해한다는 뜻”이라고 해석했다. 이재민 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양국 정상의 자연스러운 대화를 보여주는 상징적 장면이었다”며 “케미스트리가 잘 맞았단 의미다. 비공개 세션에서도 대화가 잘 이어졌을 것 같다”고 말했다.

17563259653972.jpg

박경민 기자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4,069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