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물가 반영하면 근로소득도 사업소득도 감소…불황에 지갑마저 닫았다

본문

물가 상승분을 덜어내면 올해 2분기 소비지출이 전년보다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감소폭은 코로나19 시기인 2020년 4분기 이후 가장 컸다. 소비심리가 꽁꽁 얼어붙은 데다, 벌이 역시 제자리 걸음을 하면서다. 교육비 등 웬만하면 줄이지 않은 항목의 지출마저 졸라맨 결과다.

17563727121237.jpg

통계청이 28일 발표한 2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2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은 283만6000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0.8% 증가했다. 다만 물가 상승까지 고려한 실질지출은 전년보다 1.2% 줄었다. 26일 서울 중구 중부시장에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 가능 매장 안내문이 부착되어 있다. 뉴스1

통계청이 28일 발표한 2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2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은 283만6000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0.8% 증가했다. 코로나19 때인 2020년 2분기(1.2%)보다 증가율이 낮다.

2020년 가격에 고정해 계산한 실질소비는 전년보다 1.2% 줄었다. 계엄 여파가 있었던 올해 1분기(-0.7%)보다 낙폭이 클 뿐 아니라, 코로나19 대유행 시기인 2020년 4분기(-2.8%) 이후 감소폭이 가장 컸다. 물가 상승분을 제외하면, 실질적으로 소비가 감소했다는 뜻이다. 실질 소비지출은 지난 1분기(-0.7%)에 이어 2분기 연속 감소했다.

이상 신호는 여기에 그치지 않는다. 소득 5분위 가운데 중산층에 해당하는 3분위가 유일하게 소비지출을 3.8% 줄였다. 물가 상승분을 고스란히 얹었는데도(명목 기준) 이 같은 수치가 나왔다. 가정용품ㆍ가사서비스(-28.8%), 교통ㆍ운송(-18.6%), 오락ㆍ문화(-13.2%) 등 지출에서 허리띠를 졸라맨 결과다. .

이지은 통계청 가계수지동향과장은 “자동차나 가전 기기 등 지출 금액이 큰 내구재가 줄면서 영향을 미쳤다”며 “2분기 때 국내외 사회, 경제적인 불확실성이 컸기에 소비 심리 위축에 어느 정도 영향을 준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17563727123336.jpg

신재민 기자

지출이 늘어난 항목(실질 기준)은 음식ㆍ숙박(0.1%), 보건(3.1%), 기타 상품ㆍ서비스(7.9%)뿐이었다. 기타 상품ㆍ서비스의 경우 전년 대비해 혼인과 출산이 늘어나며 관련 지출이 그나마 증가했다. 지출이 줄어든 품목은 교통ㆍ운송(-5.3%), 의류ㆍ신발(-5.8%), 가정용품ㆍ가사서비스(-12.9%) 등이 대표적이다. 특히 교육비는 3.2%가 줄었는데 2020년 4분기(-15.8%) 이후 가장 감소폭이 컸다. 불황은 가계에서 웬만하면 줄이지 않는 학원 등 사교육 지출까지 영향을 미쳤다.

2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506만5000원으로 전년 대비 2.1% 증가했다. 물가 변동 영향을 제외한 실질소득 증가율은 0%로 제자리걸음 했다. 실질소득은 지난해 2분기 이후 올해 1분기까지 매 분기 증가 추세였는데 그 흐름이 멈췄다.

실질소득 항목별로는 근로소득(-0.5%)과 사업소득(-1.9%) 모두 전년 대비 감소했다. 물가 상승을 고려하면 근로자와 자영업자 모두 손에 쥐는 돈이 지난해보다 줄었다는 의미다. 특히 사업소득 감소폭은 2023년 3분기(-3.8%) 이후 가장 컸다. 통계청은 내수 부진에 따른 폐업으로 자영업자 수가 감소한 게 사업소득 감소로 이어졌다고 분석했다. 반면 재산소득(5.5%)과 정부의 보조금 등이 포함된 이전소득(3%)은 증가했다.

소득 수준별로 나눠보면 저소득 자영업자의 어려움이 여전히 컸다. 소득 2분위(하위 21~40%)와 3분위(상위 41~60%)의 사업 소득은 전년 대비 각각 5.1%, 15.5% 감소했다. 반면 소득 4ㆍ5분위의 사업 소득은 전년보다 모두 늘었다.

가구당 월평균 처분가능소득(소득-비소비지출)은 402만4000원으로 1년 전보다 1.5% 증가했다. 처분가능소득에서 소비지출을 뺀 흑자액은 118만8000원으로 1년 전보다 3.3% 늘었다.

분배 관련 지표는 악화했다. 가구의 처분가능소득(소득-비소비지출)을 가구원 수로 나눠 상위 20%와 하위 20%의 소득 격차를 구하는 5분위 배율은 5.45배로 지난해 동기(5.36배)보다 0.09배 늘었다. 상위 20%의 소득이 하위 20%의 5.45배라는 뜻이다. 배율이 커질수록 소득 불평등이 심하다는 의미다.

정부는 이날 조사 결과와 관련해 “경기 진작과 민생안정을 위한 민생회복 소비쿠폰, 고효율 가전제품 구매 비용 환급 등 2차 추가경정사업을 신속히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4,204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