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슈카월드 990원 빵에…자영업자 "비상식적, 장사 걱정" 호소
-
3회 연결
본문

ETF 베이커리를 소개하는 유튜버 슈카월드. 유튜브 채널 '슈카월드 코믹스' 캡처
구독자 361만명을 거느린 유튜브 채널 '슈카월드'를 운영하는 삼성자산운용 펀드매니처 출신 유튜버 슈카월드(전석재)가 소금빵을 990원에 판매하는 팝업스토어를 운영하자 일부 자영업자들이 "비상식적인 가격 때문에 장사가 안될까 걱정"이라며 호소하고 있다.
슈카월드는 30일부터 서울 성동구 성수동에서 공간 설계 업체 글로우서울과 협업해 'ETF 베이커리'를 연다. 일시적인 기간만 운영되는 팝업스토어로 꾸려진 'ETF 베이커리'는 소금빵, 베이글, 바게트, 식빵, 명란바게트, 단팥빵 등 총 35총의 빵과 케이크를 시중보다 싸게 판매한다. 베이글, 소금빵, 바게트는 990원, 식빵 1990원, 명란바게트 2450원, 단팥빵 2930원이다. 2호 사이즈 복숭아 케이크는 18900원에 판다.

ETF 베이커리를 소개하는 유튜버 슈카월드. 유튜브 채널 '슈카월드 코믹스' 캡처
슈카월드는 "'빵플레이션(빵+인플레이션)' 현상에 대응하기 위한 기획"이라며 "가성비를 강조한 새로운 형태의 베이커리 브랜드를 공개한다"고 밝혔다. 또 빵값 구조와 원재료 비용을 직접 분석한 콘텐트도 공개했다.
슈카월드는 "산지 직송으로 원가를 낮췄고, 인건비 절감을 위해 빵 모양을 규격화·단순화했다"며 "아울러 빵값을 '마진율'이 아닌 '마진액'으로 계산해 원가가 상승하더라도 소비자가에는 반영이 덜 되게끔 조정했다"고 밝혔다.
반면 자영업계에서는 "자칫하면 기존 빵집들이 폭리를 취하는 것처럼 비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자영업자 커뮤니티에는 벌써 "소금빵을 하루 1000개, 1만개씩 팔아도 990원엔 절대 못 판다. 빵 하나 원가가 1000원"이라는 볼멘소리가 나오고 있다. 빵집을 운영한다는 이 자영업자는 "판매가가 아니라 유통에 거품이 낀 것"이라며 "애꿎은 자영업자만 자꾸 머리채 잡힌단 생각이 든다"고 호소했다.
또 다른 빵집 사장도 "며칠 전부터 급속도로 매출이 떨어지더니 손님이 '왜 이렇게 비싸게 파냐. 유튜버가 990원에 파니 빵값이 비싸서 못 사 먹겠다'고 한마디 하고 가셨다. 새벽 4시 반부터 일어나 작업하는데 허무하다"고 토로했다.
앞서 공정거래위원회는 한국 빵값이 비싼 이유가 높은 인건비와 복잡한 유통 구조, 수입 의존도가 높은 밀 사용으로 인한 가격 변동 등에 있다고 꼽았다. 제빵업계 인건비는 전체 원가의 28.7%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식품 제조업 평균인 8.1%의 3배를 넘는 수치다. 밀은 99% 이상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국제 곡물 가격과 환율 변동에 아주 민감하다.
소비자들은 대체로 환영하는 분위기다. "소금빵이 3000원이나 하는 이유를 모르겠다", "평소에 비싸서 가끔만 먹었는데 이번 기회에 많이 사 먹어야겠다" 등 기대를 보이는 반응이 대다수다. 해당 기획이 팝업스토어라는 점도 주목했다. 한 네티즌은 "잠깐 영업하는 거로 시장에 혼란을 일으킬 정도면 장사 접어야 하는 것 아니냐"며 팝업스토어 기획을 옹호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