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김병기, '공직자 사생활 분리 심사' 인사청문회법 개정안 발의

본문

17566462362797.jpg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지난 27일 오전 대전시 중구 용두동 더불어민주당 대전시당에서 열린 현장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공직 후보자의 사생활 검증을 별도로 심사할 수 있도록 하는 인사청문회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31일 정치권에 따르면 김 원내대표는 지난 29일 인사청문회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원내대표단을 포함해 민주당 소속 의원 17명이 공동 발의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김 원내대표는 발의 이유에 대해 “최근 인사청문회는 공직 후보자의 공직 적합성과는 무관한 사생활 검증에 치중되는 경향이 있다”며 “이로 인해 공직 후보자 또한 검증 과정에서 필요한 자료의 제출을 기피하는 등 인사청문회의 본래의 목적이 저해된다는 지적이 있다”고 설명했다.

개정안에는 인사청문회 이전 단계에서 인사청문소위원회를 두어 공직 후보자의 사생활 등 민감 정보를 별도로 심사하는 절차가 담겼다. 특히 해당 자료는 비공개로 분류해 인사청문위원만 열람할 수 있도록 제한을 뒀다.

민주당은 이재명 정부 1기 내각 인사청문회 과정에서도 후보자 도덕성 검증을 비공개로 전환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이번 개정안은 당시 논의했던 방향을 법률로 구체화한 셈이다.

이와 함께 김 원내대표는 같은 날 무고죄에 대한 형법 개정안도 대표 발의했다. 개정안은 무고죄의 법정형 하한을 1년 이상으로 조정하는 내용이다. 현행법상 무고죄는 10년 이하 징역 또는 1500만원 이하 벌금형에 처해질 수 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4,397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