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방중 전 ‘화성-20형’ 꺼낸 김정은…전략핵 보유국 마이웨이
-
3회 연결
본문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중국 베이징으로 향하는 열차에서 최선희 외무상(오른쪽), 김성남 노동당 국제부장과 이야기하고 있다. [노동신문=뉴스1]
북한이 전승절 행사 참석을 위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방중 직전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20형’ 개발을 공식화했다. 다자외교 무대에 나설 정도로 대내외적 자신감을 키운 김정은이 데뷔전을 앞두고 핵 능력을 과시한 건 미국뿐 아니라 중국, 러시아에 보내는 메시지이기도 하다.
조선중앙통신은 2일 김정은이 전날 미사일총국 산하 화학재료종합연구원 산하 연구소를 방문해 “탄소섬유복합재료를 이용한 대출력 고체 발동기(엔진)를 제작하고 지난 2년간 8차례에 걸치는 지상분출 시험을 통하여 발동기의 동작 믿음성과 정확성을 검증한 시험결과에 대하여 요해(파악)”했다며 “(해당 엔진이) ‘화성포-19’형 계열들과 다음 세대 ICBM ‘화성포-20’형에 이용될 계획”이라고 밝혔다.
화성-20형 개발은 동체 소형화와 탄두부 다탄두화를 의미하는 것으로 관측된다. 특히 초고열 소재인 탄소복합재료(C/C Composite)를 언급한 건 이를 적용한 고체연료 기반 차세대 ICBM 엔진을 개발 중이라는 뜻으로 읽힌다.
북한은 이미 미 본토 전역을 사정권에 넣는 1만5000㎞급 ICBM 개발을 완성했다고 주장해 왔다. 그런데 새삼 신형 ICBM을 꺼낸 건 비핵화를 전제로 한 대화에는 관심이 없다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하며, 미국의 태도 변화를 유도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홍민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미국을 향해 핵무기 고도화 의지와 돌이키기 어려운 핵보유국 위상을 과시한 것”이라고 말했다.
동시에 이는 ‘중국 역시 북한에 비핵화를 요구하지 말라’는 뜻으로도 읽힌다. 국정원은 김정은이 “푸틴과 동급 의전과 경호를 받을 것”(2일 국회 정보위원회 보고)이라고 내다봤는데, 김정은은 이를 향후 핵 관련 협상에서 중국 역시 북한과 같은 편이라는 이미지 조성에 활용할 것으로 보인다. 국정원은 “김정은은 북·중 관계 복원으로 대외 운신의 폭을 확대하고, 북·미 대화 등을 염두에 두고 중국의 지지를 확보하려는 것”으로도 분석했다.
이와 관련, 김정은은 지난달 31일에는 함경남도 함흥 인근에 위치한 것으로 추정되는 새 전술핵 미사일 공장을 시찰했다. 이틀에 걸쳐 전술핵 미사일과 전략핵 무기인 ICBM 카드를 연이어 꺼낸 것이다. 이번 열병식에는 북한을 포함해 25개국 정상이 참여하는데, 이들을 만나러 가는 길에 ‘핵 행보’를 공개한 건 ‘사실상 핵보유국’ 지위를 인정받으려는 의도로 읽힌다.
북한이 지난해 10월 ‘화성-19형’이 “최종 완결판 ICBM”이라고 주장했으면서 또 ‘화성-20형’ 개발에 나선 건 아직 미진한 부분이 남았다는 자인이나 마찬가지다.
실제 북한은 대기권 재진입 기술 등을 아직 확보하지 못했는데, 김정은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대면하기 직전 화성-20형을 꺼낸 건 첨단기술과 부품·소재 지원을 독촉하는 것이란 해석이 가능하다.
국정원은 “김정은은 향후 과감한 대내외적 조치에 나설 소지가 있다. 전향적인 새 국가 발전 노선을 제시하거나 러시아로부터 반대급부 수확에 나서며 방러 카드를 저울질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다만 “단시일 내 남북관계 개선에 호응할 가능성은 작다고 본다”며 전승절 행사에 참석하는 우원식 국회의장과 의미 있는 만남이 이뤄질 가능성은 부정적으로 봤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