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SK온, 美 ESS 대형 공급계약 따냈다…“현지서 LFP 첫 양산”

본문

17569668089951.jpg

SK온의 컨테이너형 ESS 제품. 사진 SK온

SK온이 미국에서 첫 대규모 에너지저장장치(ESS) 프로젝트를 수주했다. 현지에서 생산하는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로 북미 ESS 시장 공략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SK온은 미국 콜로라도주에 본사를 둔 재생에너지 기업 ‘플랫아이언 에너지 개발’과 1기가와트시(GWh) 규모의 ESS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4일 밝혔다. 플랫아이언이 추진하는 매사추세츠주 프로젝트에 LFP 배터리가 탑재된 컨테이너형 ESS 제품을 내년에 공급한다. 추가로 플랫아이언이 2030년까지 미국에서 추진하는 6.2GWh 규모의 프로젝트에 대한 ‘우선 협상권’도 확보했다. 양사 협의를 통해 내년부터 4년간 최대 7.2GWh 규모의 ESS 제품을 공급할 전망이다. 이 경우 수주 금액은 최대 2조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2021년 설립된 플랫아이언은 대규모 ESS 개발 및 운영에 특화된 재생에너지 개발사다.

중국 배터리 업체들이 장악한 LFP 배터리에서 SK온이 대규모 수주 성과를 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SK온은 내년 하반기부터 ESS 전용 LFP 배터리 양산에 돌입한다. 이를 위해 미국 조지아주에 있는 ‘SK배터리아메리카’ 공장의 전기차 배터리 생산 라인 일부를 ESS 라인으로 전환할 방침이다. SK온은 “현지 생산 체계를 빠르게 구축해 고객 수요에 적시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SK온은 지난해 12월 ESS 사업실을 대표이사 직속 조직으로 격상해 ESS 시장을 공략해 왔다. 최대진 SK온 ESS사업실장은 “첨단 배터리 기술과 현지 생산 역량을 바탕으로 추가 고객사를 확보해 북미 ESS 시장에서 입지를 더욱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또 SK온은 전기차용 LFP 배터리 기술 개발도 완료하고, 다수의 완성차 고객사와 수주를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으로 실적 부진을 겪는 K배터리 업체들은 ESS 사업 확대에 사활을 걸고 있다. 특히 미국이 중국산 배터리에 대한 관세 장벽을 높이면서 ‘반사이익’을 노린다. 미국은 중국산 ESS용 배터리에 40.9%의 관세를 부과 중인데, 내년에는 58.4%로 올려 부과한다. LG에너지솔루션은 최근 테슬라로부터 약 6조원 규모의 ESS용 LFP 배터리 계약을 따냈다. 삼성SDI도 현지 업체 공략을 강화하며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관련기사

  • 17569668092147.jpg

    믿을 건 북미 ESS 시장뿐...K배터리 무기는 ‘각형 LFP’

  • 17569668094142.jpg

    LG엔솔 '15조원 잭폿'…中 꺾고 벤츠와 차세대 배터리 공급계약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060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