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KIA 최형우가 '금강불괴'로 살아남는 법

본문

프로야구 KIA 타이거즈 최형우(42)는 '금강불괴'로 통한다. 마흔이 넘은 1983년생 베테랑이 여전히 KBO리그 현역 최정상급 타자로 이름을 날리고 있다. 지난달 28일 SSG 랜더스전에선 역대 최고령 20홈런(41세 8개월 12일) 기록을 19년 만에 갈아치웠다. 세월을 역행하는 최형우의 '롱런'은 KBO리그의 가장 큰 미스터리 중 하나다. 그는 정작 "10년 가까이 '몸 관리 비결'을 질문받는데, 진짜 특별한 게 아무것도 없어서 미안할 지경"이라며 "아무래도 강한 몸을 타고난 게 가장 크다. 태어날 때 4.2㎏의 우량아였고, 4세 때쯤 내가 (남들보다) 튼튼하다는 걸 알아차렸다"고 웃었다.

17569669549353.jpg

42세 나이에도 여전히 KBO리그 최정상급 타자로 활약하고 있는 KIA 최형우. 사진 KIA 타이거즈

최형우가 경기 중 잘 다치지 않는 비결은 하나 있다. 무작정 '열심히'만 하지 않는 거다. 그는 "선수라면 누구나 당연히 최선을 다해 뛰어야 하지만, 상황을 잘 판단하면서 플레이하는 것도 중요하다"며 "슬라이딩을 안 해도 될 때 굳이 하지 않고, 전력질주 하다가도 다른 선수와 부딪힐 거 같으면 타이밍을 잘 잡아서 멈출 필요도 있다. 여러 해 경기에 나가다 보니 그런 노하우가 쌓인 것 같다"고 분석했다.

부상 없는 선수로 유명하지만, 늘 몸 상태가 완벽한 것도 아니다. 최형우가 '부상'으로 여기는 통증의 기준이 남들보다 조금 더 높을 뿐이다. 그는 "뼈가 부러지거나 경기장에서 절뚝거려야 하는 상황이 아닌 이상, 나는 그냥 경기에 나간다. 다른 선수들이 며칠 쉬어야 할 정도의 통증도 나는 잘 참아내는 편"이라며 "원래 어릴 때부터 인내력이 강했다"고 털어놨다.

무엇보다 최형우는 이런 상황을 '힘들지만 참는다'가 아니라 '당연하다'고 여긴다. 그는 2002년 삼성 라이온즈에 포수로 입단했다가 4년 만에 방출됐다. 이후 경찰야구단에서 군 복무를 마친 뒤 2006년 삼성에 재입단해 2008년 신인왕에 올랐다. 6년의 굴곡을 이겨낸 그는 "그 시절을 겪어본 사람으로서 늘 '내가 쉬면 누구든 내 자리를 차지할 수 있다'는 위기의식을 갖고 살아왔다"며 "감독님이 선발 라인업에서 빼지 않는 이상, 무조건 뛰는 게 맞다"고 강조했다. 요즘 선수들이 중요하게 여기는 '루틴'도 따로 만들지 않는다. "정해진 패턴을 지키느라 스트레스받느니, 그때그때 몸 상태를 살피면서 필요한 운동을 하는 게 (내게는) 더 도움된다. 루틴이 생기려고 해도 얽매이기 싫어서 스스로 깨버리는 편"이라고 설명했다.

17569669551783.jpg

42세 나이에도 여전히 KBO리그 최정상급 타자로 활약하고 있는 KIA 최형우. 사진 KIA 타이거즈

최형우는 올 시즌 뒤 자유계약선수(FA)가 된다. 내년에도 현역으로 뛰면서 역대 최고령 출장·안타·홈런 등의 기록을 모두 경신할 가능성이 크다. 그는 "최고령 기록은 언제든 깨질 수 있다고 생각해 큰 의미를 두지 않는다. 그러나 지금까지 야구하는 것에 대한 뿌듯함은 느끼고 있다"고 말했다. '참 안 다치고 오래 야구한다'는 말이 나온 게 한참 전인데, 여전히 똑같은 감탄사를 듣고 있으니 더 그렇다.

그는 "어렸을 땐 내가 이 나이까지 선수로 뛴다는 걸 상상도 못했다. 내가 생각해도 말도 안 되는 일"이라며 "예전보다 체력이 떨어져서 힘들기도 하지만, 그 안에서 기술로 어떻게든 커버하면서 하루하루를 버티고 있다. 나로 인해 다른 베테랑 선수들도 더 뛸 수 있다는 의지를 가질 수 있다면 더 좋겠다"고 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060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