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시진핑·푸틴 껴안으며, 미 우방국과 협력…모디 줄타기 외교

본문

17570027889727.jpg

인도가 미국과 중국을 상대로 ‘줄타기 외교’를 벌이고 있다. 미국의 50% 관세 부과를 계기로 겉으론 중국·러시아와 밀착하고 있지만, 일본과 독일 등 미 우방국과의 협력도 강화하면서 미국과의 관계 개선을 도모하고 있다.

나렌드라 모디(사진) 인도 총리는 지난달 31일 7년 만에 중국을 찾아 톈진에서 열린 상하이협력기구(SCO) 정상회의에 참석해 양국 관계의 정상화를 알렸다. 두 나라는 2020년 히말라야 인근 국경에서 벌어진 양국 군의 유혈 사태 이후 긴장 상태를 유지해 왔다. 모디 총리는 SCO 회의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껴안고 환담을 하며 중국이 주도하는 ‘신반미연대’의 주축인 듯한 모습을 연출했다.

하지만 SCO 회의 전후 모디 총리의 행보는 이와 달랐다. 그는 지난 3일 베이징 천안문광장에서 열린 80주년 전승절 열병식에 불참했다. 중국 방문 직전인 지난달 29~30일 일본을 찾아 이시바 시게루 총리와 정상회담을 가졌고, SCO 회의 참석 후엔 요한 바데풀 독일 외무장관을 만났다. 모디 총리는 미국의 전통적 우방인 양국과 경제·안보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미국과의 무역 협상도 물밑 조율 중이다. 미국이 러시아산 원유 수입을 문제 삼아 지난달 27일 50% 관세를 부과했지만, 인도는 관세 맞불 대신 22일부터 소비세를 인하하기로 하며 상황 관리에 나섰다. 인도 정부는 트럼프 대통령의 측근으로 꼽히는 제이슨 밀러 전 수석보좌관과 데이비드 비터 전 공화당 상원의원을 로비스트로 고용해 미국 정부와의 관계 개선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미국과 중국을 오가는 인도의 실용주의 외교는 건국 때부터 이어진 ‘비동맹 중립주의’의 유산이다. 미·소 냉전 시절에도 인도는 전략적 독립을 유지하면서 소련으로부터 무기를 저렴하게 받았고, 미국이 중국 견제에 나선 뒤로는 미국과 경제 협력을 강화해 왔다.

하지만 패권 경쟁이 격화하는 상황에서 줄타기 외교가 지속 가능할지에 대해선 의문도 뒤따른다. 미 외교전문지 디플로맷은 “기존 균형추 역할을 넘어 지속적인 동맹 구축에 힘써야 한다”고 전망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181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