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3인 가족 4670만원 받는다… 부산시, 해수부 이전 지원에 771억 마련
-
4회 연결
본문

부산 동구에 붙은 해수부 이전 환영 현수막. 연합뉴스
해양수산부 이전을 앞두고 부산시가 해수부 직원의 주거와 안정적인 지역 정착을 위한 700억원대 규모 지원책을 내놨다. 당장 주거지 마련이 어려운 직원에게 관사를 제공하고, 3인 가족 기준 4000만원대 현금성 지원 등 방안이 담겼다.
당장 관사 100호, 장기론 우선ㆍ특별공급
부산시는 연말 해수부 이전과 함께 부산 이주가 예상되는 직원 850여명의 주거·정착 지원 방안을 마련했다고 5일 밝혔다. 시는 우선 연내 가족을 동반해 부산에 이주하는 해수부 직원의 주거 안정을 위해 관사 100호를 제공한다. 관사는 무료로 제공되고, 관리 정도만 직원이 부담한다.
시가 입주 가능한 것으로 확인한 관사 후보 매물은 2000여호다. 시는 해수부 노조 등과 논의를 통해 이주 직원 의견을 받고, 알맞은 관사를 빌려 제공할 계정이다. 850여명 가운데 갑작스러운 해수부 이전으로 주거지 마련이 여의치 않은 직원들이 관사 제공 대상이다.

해양수산부 김성범 차관(오른쪽 네 번째)과 부산시 성희엽 미래혁신부시장(오른쪽 다섯 번째)이 정부세종청사 해양수산부 중회의실에서 제1회 정책협의회를 열기에 앞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협의회는 해수부의 부산 이전 결정으로 청사 이전, 직원 정주 여건 등 부산시와 협력과제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열렸다. 연합뉴스
장기적으로는 부산도시공사가 시행사로 참여하는 아파트를 조성 원가로 공급하고, 공공ㆍ민간 택지 내 분양 주택 일부를 특별공급해 이주 직원 주거 안정을 꾀한다. 부산시 관계자는 “2013년 1차 공공기관 이전 때처럼 특별공급 물량에 대한 전매 등 문제가 일어나지 않도록 준비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주 즉시 1인 400만원 현금 지원도
해수부 직원과 가족에 현금도 지원한다. 직원과 직계 가족에 1인당 400만원을 주며, 이와 별도로 직원에겐 최장 4년간 매월 40만원을 제공한다. 직원이 부산에서 집을 구할 때 중개ㆍ등기 수수료 등을 각 100만원 한도 내에서 실비 지원한다.
해수부 직원이 이주 2년 안에 출산하면 기존 지원(첫째 200만원, 둘째 400만원) 이외에 200만원을 더 준다. 직원 미취학 자녀는 2년간 매월 50만원, 초등~고등 자녀에겐 일시금 150만원에 2년간 매월 50만원의 장학금을 주는 방안도 포함됐다.
부산시 관계자는 "이런 돈을 합하면 직원과 배우자, 초등학생 자녀로 구성된 3인 가족이 이주 때 총 4670만원을 받게 된다"고 설명했다. 해수부 본청 직원 850여명 이주를 기준으로 드는 예산은 771억원이다. 이는 모두 부산시 예산으로 충당된다.

해양수산부가 임차하기로 한 IM빌딩(오른쪽 흰색건물)과 협성타워(왼쪽). 두 건물 모두 부산 1호선 부산진역 인근에 있고 북항 재개발지역과 멀지 않다. 연합뉴스
부산시 관계자는 “이주 직원들은 가족을 포함해 생활 터전을 옮겨와야 한다. 해수부 노조 등과 긴밀히 논의하며 실질적인 지원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며 “다만 부산 해양수도 이전기관 지원에 관한 특별법 등 국회에서 발의된 특별법 2건이 제정돼야 이런 지원이 실제 이뤄질 수 있다”고 말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