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방부→전쟁부 개칭하려는 트럼프…과거 영광 되살리나
-
2회 연결
본문

지난달 26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백악관 내각 회의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왼쪽)이 지켜보는 가운데 피트 헤그세스 미국 국방장관이 연설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5일(현지시간) 국방부(Department of Defense) 명칭을 ‘전쟁부(Department of War)’로 되돌리는 행정명령에 서명할 예정이다. 제2차 세계대전 직후 ‘방어’(Defense)로 바뀐 지 26년 만이다.
백악관은 4일(현지시각) 트럼프 대통령이 5일 국방부 명칭 변경을 위한 행정명령에 서명할 예정이라고 확인했다고 폭스뉴스 디지털이 4일 보도했다. 백악관 관계자에 따르면 이번 행정명령은 우선 국방부에 보조 명칭으로 ‘전쟁부’를 병기하도록 하고, 향후 의회 동의 절차를 거쳐 정식 명칭 변경을 추진하라는 지시도 담고 있다.
이번 조치는 트럼프 행정부가 추진하는 ‘전사 정신(warrior ethos)’ 캠페인의 일환으로, 미국 군인들의 임무를 보다 정확하게 반영하고 국익을 위한 전쟁 준비 태세를 대외적으로 과시하겠다는 의도가 담겼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기자들에게 “전쟁부 시절 우리는 믿을 수 없는 승리의 역사를 가졌다”며 명칭 복원을 예고한 바 있다. 피트 헤그세스 국방장관 역시 최근 “국방부는 방어만이 아니라 공격도 수행하는 조직”이라며 “전쟁부라는 이름이 전사의 정신을 되살리고 적에게 확실한 메시지를 줄 것”이라고 강조했다. 실제 그는 일부 자리에서 이미 ‘전쟁장관’으로 불리고 있다고 한다.
다만 행정명령 이후 국방부 명칭이 즉각 바뀌진 않는다. 정부 부처 개명은 의회 입법 사항이기 때문에 대통령이 단독으로 부처 명칭을 바꿀 수 있는지에는 의문도 제기되는 상황이다. 워싱턴포스트(WP)는 “국방부는 1789년 의회 입법으로 설치된 기관이며, 과거의 모든 명칭 변경도 법률을 통해서 했다”며 법적 정당성 문제를 거론했다.
또 전면적인 간판·문서·인장 교체에 막대한 비용이 수반될 수 있다는 우려도 크다. 브래드 보우먼 민주주의 수호 재단(Foundation for Defense of Democracies)의 군사정치력 센터 선임 이사는 WP에 “중국이 태평양에 미군을 견제하는 병력을 배치하고, 미국의 군사적 우위가 약화한 상황에서 국방부의 이름을 바꾸는 것은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새로운 표지판과 문서 작업을 위한 상당한 비용 문제도 언급했다. 실제 바이든 행정부 시절 남부연합 기념 인물 이름을 딴 군 기지들을 바꾸는 데만 6000만 달러(약 834억 7200만 원) 이상이 들었다고 한다.
미국은 건국 직후인 1789년부터 1947년까지 군 최고 행정기관을 전쟁부라 했다. 하지만 제2차 세계대전 후 해군부를 통합하고 공군을 독립시킨 뒤, 1949년 개정된 국가안전보장법에 따라 지금의 국방부로 명칭을 바꿨다. 이 때문에 일각에선 트럼프 대통령의 과거 명칭 복원 추진이 미국이 세계대전에서 승리하던 시절의 영광을 되살리려는 정치적 행보라는 해석도 나온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