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해방후 146억그루 심은 ‘한강의 기적’…산림녹화 노하우 외국에 전수

본문

산림청이 세계 여러 나라에 산림 녹화와 산불 예방, 피해 복구 기술을 전수하고 있다. '한강의 기적'으로 불리는 산림녹화 노하우를 알려줘 환경 훼손을 막고 기후변화 시대에 대응하자는 취지다.

17572979993015.jpg

산림청이 콩고민주공화국 산림 관계자들을 초청해 산림정책과 산림재난 현장 대응 방안 등을 전수했다. 사진 산림청

콩고공화국에 산림녹화 기술 소개 

산림청은 “지난 8월 25일부터 지난 5일까지 약 2주간 콩고민주공화국 대표단을 대상으로 한국의 산림정책과 산불 등 산림재난 현장 대응 역량을 소개하는 초청 연수를 진행했다”고 8일 밝혔다. 대표단은 콩고민주공화국 환경지속가능개발부 토이람베 바모닌가 벤자민 차관과 산림공무원·시민단체·학계 등 12명으로 구성됐다. 이번 연수는 유엔개발계획(UNDP)와 한국국제협력단(KOICA)가 함께 수행 중인 콩고민주공화국 오트우엘레주 산림전용과 황폐화 방지를 중심으로 한 기후변화 대응사업 목적으로 마련됐다.

산림청은 콩고 대표단에 한국전쟁 직후 황폐해진 국토를 국가적 노력으로 복구한 성공사례, 산불 등 산림재난 대응 시스템을 설명했다. 또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이행을 위한 국외산림탄소축적증진사업(REDD+) 사업 등도 소개하고, 국제 산림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또 산림청 중앙산림재난상황실에서 산불상황관제시스템, 산불진화헬기 운용 영상을 보여주며 산림재난 관련 24시간 실시간 통합 대응 시스템을 소개했다.

17572979994946.jpg

산림청이 콩고민주공화국 산림 관계자들을 초청해 산림정책과 산림재난 현장 대응 방안 등을 전수했다. 사진 산림청

방문단은 아시아산림협력기구(AFoCO) 사무국, 국립산림과학원, 국립수목원, 중부지방산림청 등 국제협력기구, 연구기관, 현장 정책 실행기관 등도 찾았다. 국립산림과학원에서는 산불 확산 모델인 산불확산예측시스템이, 중부지방산림청에서는 고성능 진화차를 활용한 산불 진화, 공중·지상 진화 연계 전술, 정보통신기술(ICT) 기반 산불현장통합지휘본부 운영 등 산불 진화 상황이 재현됐다.

콩고 공화국 토이람베 바모닝가 벤자민 차관은 “인공지능(AI) 기반 정보통신기술(ICT) 플랫폼을 활용한 첨단 감시체계와 산불 상황 발생 시 즉각 대응할 수 있는 지휘 체계가 인상 깊었다”라며 “콩고민주공화국은 건기에 산불 위험이 커지는데, 이번에 한국에서 배운 것은 산림재난 역량을 강화하는데 귀중한 참고사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17572979996861.jpg

1973~1977년 영일만 산림 복구 장면. 사진 문화재청

과테말라 산림청 관계자도 연수 

이와 함께 산림청은 브루노 아리아스 리바스 과테말라 산림청장과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지난 1일부터 5일간 일정으로 산림정책과 조림 기술을 배우는 연수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김인호 산림청장은 “한국 산림정책과 고도화된 기술을 활용해 과테말라·온두라스 등 중앙아메리카 국가에서 산림복원과 기후대응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

앞서 산림청은 2007년부터 몽골과 중국 네이멍구 쿠부치 사막 등에 사막화 방지를 위해 약 10억그루의 나무를 심었다. 또 현지에 조림 기술 등을 전수했다. 산림청은 2026년까지 이들 지역을 대상으로 산불피해지 복원과 산불 예방, 양묘장 등 산림복원 기반시설을 조성할 계획이다.

17572979998956.jpg

1973~1977년 포항 영일만 산림 복구 진행 상황 장면. 사진 문화재청

1946년부터 146억 그루 심어 

한편 정부는 황폐지 복구를 위해 1961년 산림법, 1962년 사방사업법, 1963년 국토녹화 촉진에 관한 임시조치법 등 산림 관련 법령을 차례로 만들었다. 이어 1967년 산림청을 발족해 산림자원 조성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1973년 '제1차 치산녹화 10개년 계획'을 수립하고 본격적인 산림녹화사업을 시작했다. 1946년부터 2020년까지 75년 동안 남한에 심은 나무는 146억 그루에 달한다. 현재 한국은 국토의 63%가 산림으로 구성돼 있다. 이는 세계 평균(31%)의 2배이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4위에 해당한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785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