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같은 동네·새벽 시간…KT 소액결제 피해자 74명으로 늘어
-
1회 연결
본문

경기남부경찰청 전경. 경기남부경찰청
경기 광명시와 서울 금천구에서 발생한 KT 이용자 소액결제 해킹 사건 피해자 수가 70여명으로 늘어났다.
경기남부경찰청은 8일 출입기자 간담회를 열고 현재까지 파악된 KT 소액결제 피해 사건 피해자 수가 총 74명이라고 밝혔다. 광명경찰서 61건, 서울 금천경찰서 13건이다. 피해 금액은 광명경찰서 3800만원, 금천경찰서 780만원 등 총 4580만원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남부경찰청 사이버수사대는 두 경찰서에서 사건을 이첩받아 병합 수사할 예정이다.
경찰, KT 소액결제 피해 다각도 수사
피해자 전원은 KT 통신 가입자들이다. 광명시 소하동과 하안동, 서울 금천구에 거주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광명지역 피해자 중 일부는 같은 아파트 거주자였다. 지난달 27일부터 지난 6일까지 새벽 시간에 휴대전화로 수십만원 상당의 모바일 상품권이나 교통카드 등을 구매하는 방식으로 피해를 봤다. 피해자들의 연령대와 휴대전화 기종, 개통 대리점은 모두 달랐다. 경찰 조사를 마친 일부 피해자들은 “악성 링크를 접속하거나 특정 앱을 설치한 적은 없었다”는 취지로 진술했다고 한다.
경찰은 관련 업체들에 대해 압수수색 영장을 신청하는 등 다각도로 수사할 예정이다. 경찰 관계자는 “국내에서 특정 지역과 시간대에 소액결제 피해가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한 것은 이 사건이 처음”이라며 “전담팀을 4개로 확대(총 25명)해 다양한 가능성을 열고 수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항공료 부풀리기, 윤석열 전 대통령 사건도 수사 중
경찰은 또 지방의회의 국외 출장 항공료 부풀리기 의혹과 관련해 평택·하남시의회 관계자들을 송치했다고 밝혔다. 평택의 경우 시의원 11명과 공무원 4명, 여행사 직원 2명이 불법 기부행위를 한 혐의 등으로 검찰에 넘겨졌다. 하남은 공무원 1명과 여행사 직원 1명이 사기 혐의로 각각 송치됐으며. 시의원들은 송치 대상에서 제외됐다. 경찰이 혐의가 소명됐다고 판단해 용인, 양평, 이천, 김포, 여주 등 5개 시군의회는 불입건조치했다. 경기도의회를 포함한 나머지 12곳에 대해서는 아직 수사가 진행 중이다.

국회 법제사법위원회는 지난 1일 윤석열 전 대통령 수감 중 특혜 제공 여부를 확인하고 특검 출석 요구 당시 윤 전 대통령이 옷을 벗고 버티는 과정이 있었는지 여부를 CCTV 등의 영상기록으로 열람했다. 뉴스1
윤석열 전 대통령이 서울구치소 수용 중 각종 특혜를 받았다는 의혹과 관련해 법무부와 시민단체 등이 고발한 7건의 사건도 광역수사단 산하 반부패·경제범죄수사대로 이관해 수사한다. 강의구 전 대통령실 부속실장이 구치소장의 허가 없이 교정시설 내 보안구역에 휴대전화를 반입했다는 혐의(형의 집행 및 수용자의 처우에 관한 법률 위반)와 구치소 측이 특별검사팀의 윤 전 대통령 체포 영장 집행 당시 비협조하고 더불어민주당의 해당 CCTV 열람 요구 거부 등 부적절한 대응을 했다는 내용이다.
경찰 관계자는 “법무부 등 관계기관을 대상으로 (서울구치소) 실태조사 자료 등을 요청했다”며 “시민단체 등이 김현우 전 서울구치소장을 상대로 낸 6건의 고발사건도 도경 이관을 완료했다”고 말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