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부총리는 과기부로, 대통령실엔 사교육 출신 비서관…교육부 입지 좁아지나

본문

17573231656117.jpg

지난 2일 서울 영등포구 국회 교육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최교진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질의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2014년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만들어진 사회부총리 자리가 11년 만에 사라지게 됐다. 교육부는 장관이 겸임하던 부총리 자리를 과학기술부에 내주면서 차관보를 폐지하는 등 조직을 일부 축소할 것으로 보인다.

8일 교육부 등에 따르면 당정이 전날 밝힌 정부조직 개편안에 따라 일부 업무를 정리하는 수순을 밟게 될 예정이다. 현행 정부조직법에 따르면 교육부 장관이 겸임하는 (사회)부총리는 사회·문화·교육 정책에 관해 관계 기관을 총괄하는 업무를 맡았다. 이를 위해 2019년 문재인 정부에서 차관보 자리도 신설했다.

2008년 과학기술부가 교육부에 통합되며 폐지됐던 과기부총리제가 17년 만에 부활하게 되면 차관보 자리도 옮겨갈 전망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이날 차관보 자리에 관한 질문에 “(정부조직 개편) 큰 틀에서 방향이 제시됐고, 구체적 법안에 대해서는 아직 제정 중이라 말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이런 가운데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부)의 대학 교육과 관련한 행보가 눈에 띄게 커지고 있어 대학가에선 교육부의 입지가 약화되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최근 과기부 장·차관은 잇따라 대학을 방문하며 인공지능(AI) 교육과 인재 양성을 강조하고 있다. 배경훈 과기부 장관은 지난달 14일 2030년까지 인공지능 전환(AX) 대학을 15개 설립하겠다는 계획을 직접 발표했다.

교육계에선 과기부가 35조5000억원에 달하는 막대한 연구개발(R&D) 예산을 토대로 대학에 직접 영향력을 행사할 것이란 예상도 나온다. 한 교육 단체 관계자는 “교육부가 향후 대학  관련 예산을 둘러싸고 과기부와 씨름을 하게 되면 갈등이 본격화될 수 있다”고 말했다.

17573231658277.jpg

이현 우리교육연구소 이사장

이런 상황에서 대통령실 교육비서관 자리에 사교육 업계 출신이 내정된 것으로 알려지면서 교육계에선 반발이 나오고 있다. 교육부 등에 따르면 사회탐구 일타 강사 출신으로 사교육 업체를 설립한 경력이 있는 이현(61) 우리교육연구소 이사장은 이르면 이번 주부터 대통령실에 출근할 예정이다. 이 이사장은 중학교 교사로 근무하던 중인 1989년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 활동으로 해직된 이후 학원가로 발을 디뎠다.

9일 교육비서관 내정 철회 요구 기자회견 

교육계에선 문재인 정부 시절 대입에서 정시(수능) 비중 확대, 수능 절대평가 도입 반대를 주장했던 이 이사장과 학생부 전형 및 수능 절대평가화를 찬성해온 최교진 교육부 장관 후보자와의 갈등을 예상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사교육걱정없는세상(사걱세) 등 39개 시민단체는 이날 “이현 이사장은 사교육 업계로부터 비판을 받은 적이 없다”며 “공교육을 정상화시키고 사교육비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대통령의 약속에 대한 기대를 한순간에 무너뜨리는 일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9일 대통령실 앞에서 내정 철회 요구를 위한 기자회견을 열 계획이다.

전교조도 이날 성명서를 내고 “이현 이사장은 저서에서 교사를 이익집단으로 매도하며 학생부 중심 전형을 선호하는 이유를 권력을 놓지 않으려는 욕망으로 해석했다”며 “아직도 이러한 시각을 갖고 있다면 교육비서관으로 적절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785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