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카펫 깔아놓은듯…금잔디 부활한 골프장

본문

17573449143587.jpg

양잔디를 걷어내고 금잔디를 깐 전남 해남 파인비치 페어웨이. 카펫처럼 촘촘하다. 성호준 기자

국내 프리미엄 골프장에서 주로 쓰는 한냉지 잔디(켄터키 블루그래스, 벤트그래스 등 양잔디)는 기후 변화로 무더워진 여름이면 병충해에 시달리고 누더기가 돼 골퍼들을 짜증 나게 한다. 지난 6일 찾은 전남 해남 파인비치 골프장 페어웨이는 달랐다. 바늘처럼 가는 잎이 촘촘히 자라 카펫을 깔아놓은 듯했다. 마스터스가 열리는 미국 오거스타 내셔널의 잔디를 연상케 했다.

파인비치는 지난 3월 양잔디를 걷어내고 금잔디로 교체했다. 금잔디는 사실 한국 토종 잔디로, 농학적으로는 ‘세엽 조이시아(細葉 Zoysia)’로 불린다. 질감이 부드러운 데다 고급스러운 느낌이어서 주로 관상용에 쓰인다. 밟힘에도 강하고 잡초 억제력도 뛰어나다. 심규열 한국잔디연구소장은 “일제 강점기, 일본인들이 한국 금잔디를 가져가 ‘고라이 시바’(고려 잔디)라 부르며 일본에 퍼뜨렸다. 부산 동래 골프장과 제주 오라, 아라 골프장이 한때 금잔디를 썼으나 관리 문제로 갈아엎은 후 한국 골프장에서는 사실상 명맥이 끊긴 상태”라고 말했다.

파인비치 허명호 대표는 금잔디 부활을 꿈꿨다. 그의 부친 허재현(85)씨는 KPGA 프로로 동래 골프장 경기과장이었다. 허 대표는 동생 허석호 프로와 함께 어린 시절 그곳 금잔디 위에서 뛰어놀았다. 허 대표는 “2012년 미국 텍사스주 블루잭 내셔널(타이거 우즈가 처음 설계한 골프장)에 견학 갔다가 잔디를 보고 깜짝 놀랐다. 한국 금잔디가 거기 있었는데 너무 아름다웠다. 리우올림픽 골프 코스에도 쓰일 거란 얘기를 듣고 금잔디를 한국에서 다시 살려야겠다고 결심했다”고 말했다.

해당 잔디는 제온 조이시아(Zeon Zoysia)로, 한국 금잔디(Zoysia Matrella)를 미국에서 개량한 것. 개량종이어서 한국에 들여오려면 로열티를 내야 한다.

허 대표는 파인비치에 부임한 후 4년간 인근 부지에 금잔디를 심어 기후 적응력을 테스트했다. 난지형 잔디라 겨울에 이상저온이 지속하면 얼어 죽을 위험이 있어 반대도 있었다. 허 대표는 “우리 잔디를 저 멀리 태국, 베트남, 호주, 필리핀, 브라질에서도 가져가 잘 쓰고 있는데 원산지인 한국에서 안 쓰는 건 말이 안 된다”라며 설득했다.

다음 달 파인비치에서 LPGA 투어 BMW 챔피언십이 열린다. 허 대표는 “대회를 앞두고 방문한 LPGA 인스펙션 관계자가 ‘페어웨이, 티잉그라운드, 그린, 러프 등 전 구역에서 잔디 밀도, 볼 라이, 색감 모두 투어 기준에 부합한다’고 했다”고 전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926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