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네팔 'SNS 차단' 분노 유혈 충돌 번졌다…최소 19명 사망
-
3회 연결
본문

네팔 수도 카트만두 국회의사당 앞에서 2025년 9월 8일(현지시간) 한 시위자가 정부의 소셜미디어 차단과 부패를 규탄하며 구호를 외치고 있다. AFP=연합뉴스
네팔 수도 카트만두에서 정부의 소셜미디어(SNS) 접속 차단에 항의하는 시위가 격화하면서 유혈 충돌로 번졌다. 로이터통신은 8일(현지시간) 경찰과 시위대 충돌로 최소 19명이 숨지고 수십 명이 다쳤다고 보도했다.
경찰은 시위대를 해산하기 위해 고무탄과 최루탄, 물대포를 동원했지만 시위는 국회의사당 인근까지 확산했다. 일부 시위대는 의회 진입을 시도하고 구급차에 불을 지르는 등 격렬하게 맞섰다. 당국은 통행금지령을 내리고 군 병력까지 투입했다.
이번 사태는 지난 6일 정부가 등록되지 않은 26개 소셜미디어 플랫폼을 전면 차단하면서 촉발됐다. 페이스북, 유튜브, X(구 트위터) 등이 일시에 막히자 시민들의 불만이 폭발했다. 특히 정치적 무능과 구조적 부패에 쌓여 있던 불만이 함께 분출되면서 대규모 시위로 이어졌다. 시위 참여자의 상당수는 10대 후반~20대 초반 청년으로, 교복 차림의 학생도 눈에 띄었다. 현지에서는 ‘Z세대의 시위’라는 표현까지 나왔다.

네팔 수도 카트만두 국회의사당 앞에서 8일(현지시간) 정부의 소셜미디어 차단과 부패에 항의하는 시위대가 진압 경찰과 충돌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참가자들은 “SNS 차단이 계기였을 뿐, 근본적으로는 제도화된 부패와 권위주의적 정부 태도에 항의하는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네팔 정부는 지난해 9월 대법원 판결에 따라 소셜미디어 기업들에 현지 등록과 연락 창구 마련, 불만 처리 담당자 지정을 요구했다. 하지만 일부 기업이 이에 응하지 않으면서 이번 조치가 단행됐다. 네팔은 지난 7월에도 온라인 사기와 자금세탁 우려로 텔레그램을 차단했고, 틱톡은 지난해 8월 규정 준수 조건으로 9개월 만에 접속이 풀린 바 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