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이수만·매기 강에게 듣는다…‘케데헌’ 그후 새로운 K팝

본문

미디어의 미래를 말하다 

17574312333672.jpg

이수만, 매기 강(왼쪽부터) [중앙포토, 연합뉴스]

“케이(K)팝은 단순한 음악이 아니다.”

이수만 SM엔터테인먼트 창립자(A20 엔터테인먼트 키 프로듀서)가 오래도록 강조해 온 말이다. 그는 1995년 SM을 창립하고 연습생 시스템과 아이돌 그룹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구축하며 케이팝을 하나의 산업으로 만들었다. 그로부터 꼭 30년 뒤, 매기 강 감독은 넷플릭스 오리지널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를 통해 케이팝을 또 다른 세계로 확장했다. 케이팝에 한국 문화의 전통과 현대를 창의적으로 결합해 글로벌 관객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두 사람은 17·18일 서울 중구 명동 롯데호텔에서 열리는 중앙일보 창간 60주년 기념 ‘글로벌 미디어 컨퍼런스’에서 연사로 나서, 경험을 공유하고 미래 전략을 제시한다. 현실 산업을 만든 창시자와 이를 서사와 상상력으로 재해석한 창작자가 세대를 넘어 같은 흐름 위에서 만나는 순간이다.

1757431233612.jpg

H.O.T. [중앙포토]

이수만은 케이팝의 생산·소비 구조를 새롭게 정의했다. 1989년 현진영 발굴과 함께 당시로는 획기적이었던 캐스팅·트레이닝·마케팅·매니지먼트가 하나로 움직이는 케이팝 사업 체계를 설계했다. 1995년 SM 설립 후에는 본격적으로 한국형 관리 시스템(연습생)을 케이팝에 접목했고, ‘SMP(SM Music Performance)’라 불린 음악·안무·무대의 삼박자 시스템을 구축해 SM표 아이돌 그룹의 전형을 만들었다. 글로벌 전략으로는 ‘현지화’를 전제로 했다. ‘아시아의 별’ 보아를 필두로 한 일본 진출, H.O.T.와 동방신기로부터 시작된 중국몽(夢), 슈퍼엠으로 본격화된 미국 시장 공략 등이 대표적이다. 이런 맞춤형 콘텐트 기획은 케이팝을 엔터 산업으로 확장하는 계기가 됐다. SM은 2000년 3월 코스닥에 입성한 첫 번째 엔터사다.

혁신을 향한 발걸음은 2023년 2월 SM을 떠나기 직전까지 이어졌다. 걸그룹 에스파와 세계관 SMCU(SM Culture Universe)는 가상세계로 발상의 전환을 시도한 사례다. 에스파는 이수만이 프로듀서로 있을 시절, ‘현실 세계와 가상세계의 하이브리드 걸그룹’이란 수식어로 활동했다. 현실에선 카리나·윈터·지젤·닝닝 네 명이 활동하지만 메타버스 속 아바타 멤버(아이-카리나·아이-윈터·아이-지젤·아이-닝닝)까지 합치면 8인조가 된다.

에스파의 등장은 이수만이 설계한 SM의 미래 먹거리인 콘텐트 세계관 SMCU(SM Culture Universe)의 시작점이기도 했다. SMCU는 당초 ‘CAWMAN’(이수만의 영어 별명에서 따왔다)이라 불린 새로운 장르 결합 프로젝트와 맞물려 있었다. 카툰(Cartoon), 애니메이션(Animation), 웹툰(Webtoon), 모션 그래픽(Motion Graphic), 아바타(Avatar), 노블(Novel)을 조합해 하나의 거대한 세계관으로 확장하려는 시도였다. 이수만은 아이돌의 음악과 무대에 머물지 않고, 가상의 스토리텔링과 캐릭터 콘텐트까지 결합해 케이팝을 마블 유니버스 급의 종합 엔터테인먼트 산업으로 키우려 했다.

17574312338837.jpg

‘케이팝 데몬 헌터스’에 걸그룹 헌트릭스. [사진 넷플릭스]

흥미롭게도 이 구상은 다른 곳에서 현실화됐다. 한국계 캐나다인인 매기 강 감독이 연출한 ‘케이팝 데몬 헌터스’다. 기와지붕 위 전투, 설렁탕집 풍경, 팬 사인회와 시상식 무대까지, 현실과 판타지가 교차하는 공간에서 ‘무당 걸그룹’ 헌트릭스와 ‘악귀 보이그룹’ 사자보이즈가 맞서는 내용이다. 매기 강 감독은 지난달 내한 기자회견에서 “헌트릭스와사자보이즈를 구현하기 위해 여러 케이팝 아이돌을 찾아봤다. 나도 케이팝 팬으로 서태지와 아이들, H.O.T.를 좋아했다”고 말했다.

헌트릭스와 사자보이즈의 인기는 현실 아이돌 못지않다. 헌트릭스가 부른 ‘골든’은 세계 양대 싱글 차트인 미국 빌보드 핫100과 영국 오피셜 싱글 차트

1위를 휩쓸었다. 극 중 사자보이즈가 ‘소다 팝’을 부르며 등장하는 부분은 넷플릭스 모멘트(사용자가 원하는 장면을 저장·공유하는 기능)에서 최고 인기 장면으로 꼽혔다.

케이팝은 이제 현실 아이돌과 가상 아이돌, 무대와 애니메이션, 산업과 서사가 교차하는 거대한 흐름 속에 있다. “음악이 멜로디와 가사로만 이루어졌던 시대에서 춤·영상·스토리까지 결합한 ‘컬처 테크놀로지’로 확장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던 이수만의 꿈은 현실이 됐다. 그는 현재 중국에서 걸그룹 A20 MAY(에이 투 오 메이)를 프로듀싱하고 있다. 이수만은 18일 열리는 ‘글로벌 미디어 컨퍼런스’에서 ‘문화 운영체제의 탄생: 케이팝, 다음 문명을 디자인하다’라는 주제로 케이팝의 비전을 제시한다.

글로벌 미디어 컨퍼런스

17574312341264.jpg

QR 코드를 찍으면, 컨퍼런스의 상세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문의: xx-xxx-xxxx(평일 오전 9시~오후 6시)

로그인후 본문의 연락처 및 추천기능 사용이 가능합니다

0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4,001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