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최상위권 의대 선호에 과학고 인기 시들…경쟁률 4년 사이 최저

본문

17574818508506.jpg

2024년 과학실에서 실험하는 과학고 학생들. 사진은 기사와 직접 관계 없음. 사진 경기도교육청

내년도 과학고 입학 경쟁률이 최근 4년 사이 가장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최상위권 학생들의 의대 선호 경향이 짙어지면서 상대적으로 과학고 인기가 식은 것으로 풀이된다.

10일 종로학원이 전국 20개 과학고의 2026학년도 입학 지원 현황을 분석한 결과 평균 경쟁률은 3.41대 1로 집계됐다. 과학고 평균 경쟁률은 2023학년도에 3.5대 1이었다가 2024학년도와 2025학년도에 3.49대 1로 떨어졌고 내년도에는 3.4대 1 선을 간신히 지켰다. 서울 소재 한성과고는 올해 4.71대 1에서 내년 4.47대 1로, 세종과고는 올해 4.01대 1에서 내년 3.63대 1로 경쟁률이 떨어졌다. 경인권에 있는 3개 과학고(인천과고·인천진산과고·경기북과고)의 평균 경쟁률도 올해 5.27대 1에서 내년 5.14대 1로 하락했다. 다만 인천과고는 올해 3.33대 1에서 내년 3.63대 1로 올랐다.

전체 과학고 입학 지원자 수는 2023학년도 5739명, 2024학년도 5713명, 2025학년도 5738명으로 대체로 감소세를 보이다 내년도 지원자는 5602명으로 떨어졌다. 최근 4년 중 최저치다. 2024학년도 대비 지원자 수는 서울권은 96명(7.4%), 경인권은 32명(2.3%) 감소했다. 충청권 3개교에서 9명(1.4%), 부울경(부산·울산·경남) 5개교에서 69명(5.2%), 강원권 1개교에서 13명(8.2%) 줄었다. 지원자가 늘어난 지역도 있다. 제주권에서는 23명(22.5%), 대구·경북에서는 20명(4.1%), 호남권에서는 40명(11.8%) 늘었다.

영재학교도 최근 5년간 경쟁률·지원자 수가 눈에 띄게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전국 영재학교 8개교 중 정보를 공개한 7개교의 내년도 평균 경쟁률은 5.72대 1, 총지원자는 3827명으로 집계됐다. 2022학년도 이래 경쟁률과 지원자 수 모두에서 최저치를 기록했다.

과학고와 영재학교는 이공계 분야 우수 인재 양성을 목표로 설립된 학교로, 졸업 후 의·약학 계열 대학에 진학할 경우 교육비를 반납해야 한다. 일부 의대는 처음부터 과학고·영재학교 졸업생 입학을 제한하기도 한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지원자 수 감소 추세를 보면 수도권 학생들의 의대 선호가 지방권 학생들보다 커 보인다”고 말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4,148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