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해병특검, 국방부 윗선 겨냥…신범철 전 국방부 차관 소환

본문

17574818524515.jpg

신범철 전 국방부 차관이 10일 오전 서울 서초구 순직해병특검에 조사를 받기 위해 출석하고 있다. 뉴스1

순직해병 특검팀(특별검사 이명현)이 10일 신범철 전 국방부 차관을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혐의 피의자 신분으로 처음 소환해 조사 중이다.

이날 오전 9시 55분쯤 특검 사무실에 출석한 신 전 차관은 “고인과 유가족에게 애도와 위로의 말씀을 전한다”며 “우리나라와 군을 위해 진실이 밝혀져야 한다고 생각하고, 성실하게 조사 임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김계환 사령관에게 혐의자와 죄명을 빼라고 지시했는가’라는 취재진의 질의엔 고개를 저었다. 신 전 차관은 오는 11일에도 다시 출석해 조사를 받을 예정이다.

특검팀은 최근까지 국방부 실무자들을 상대로 수사 외압 의혹에 대한 조사를 진행해 왔다. 이날 채 해병 사망 사건 당시 국방부 2인자였던 신 전 차관을 소환하면서 국방부 장차관급 고위직에 대한 수사를 본격화한다. 오는 17일에는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이 호주 도피 의혹과 관련해 특검의 참고인 조사를 받을 예정이다.

신 전 차관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격노한 2023년 7월 31일 안보실 회의 이후, 해병대 수사단 초동 수사 기록 이첩 보류 및 회수 과정에 개입했단 의혹을 받는다. 김계환 전 해병대 사령관에게 ‘사단장은 빼라’는 취지의 문자 메시지를 보냈다는 의혹도 제기됐으나, 그는 이를 부인해 왔다.

17574818526666.jpg

해임기훈 전 국방비서관이 지난달 20일 서울 서초구 순직해병특검팀에 참고인 신분으로 조사를 받기 위해 출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또 신 전 차관은 2023년 8월 2일 수사 기록 회수 당일에 임기훈 전 국가안보실 국방비서관을 비롯한 대통령실 관계자들과 9차례 통화했다. 임 전 비서관은 특검 조사에서 “2023년 7월 31일 윤 전 대통령이 초동 수사 결과를 보고받고 격노했으며, 이 사실을 신 전 차관 등에게 전달했다”라는 취지로 진술했다고 한다.

특검팀은 지난 7월 10일 신 전 차관을 압수수색 해 그가 사용하던 휴대전화를 확보했다. 그 뒤 지난 4일 포렌식 선별 절차를 거쳐 압수물 분석이 마무리되었고, 이날 소환 조사에서는 포렌식에서 파악된 내용을 토대로 사실관계를 캐물을 방침이다.

임기훈 국방대 총장 직무정지

17574818528849.jpg

박진희 전 국방부 군사보좌관(육군 소장·현 육군 제56사단장)이 지난 7월 30일 오전 서울 서초구 순직해병 특검(특별검사 이명현)으로 출석하고 있다. 뉴스1

한편 오는 11일과 12일에는 박진희 전 국방부 군사보좌관이 특검에 출석해 조사를 받는다. 특검팀은 참고인 신분이던 박 전 보좌관을 지난 3일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및 모해위증 혐의 피의자로 입건했다. 두 차례 특검 참고인 조사를 받은 뒤 피의자 조사는 처음이다.

또 정민영 특검보는 이날 브리핑에서 “지난주 정종범 전 해병대 부사령관을 상대로 세 차례 참고인 조사를 진행했다”며 “해병대 사령관의 지시 사항, 기록 이첩 및 회수와 관련 해병대 사령부에서 논의된 내용을 전반적으로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이날 국방부 대변인실은 국방대학교 총장직을 맡고 있던 임 전 비서관에 대해 직무정지를 위한 분리 파견 조치를 했다고 밝혔다. 국방부는 “임 전 총장은 수사 개시가 통보돼 특검에서 조사 중으로, 임기가 얼마 안 남았지만 직무정지가 필요하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참고인 신분인 임 전 총장은 진술 조서를 통해 특검 조사를 받아왔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4,190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