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한국공대 유동길 교수, 고형암 정복 나선다…미래도전연구지원사업 과제 선정
-
3회 연결
본문

(왼쪽부터) 한국공학대 생명화학공학과 유동길 교수, 성균관대학교 과학수사학과/약학과 송자연 교수
한국공학대학교(총장 황수성, 이하 한국공학대)는 생명화학공학과 유동길 교수 연구팀이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이 공동 주관하는‘2025년 이공분야 학술연구지원사업 – 미래도전연구지원’신규 과제에 최종 선정됐다고 9월 10일 밝혔다.
이번 과제를 통해 유 교수팀은 향후 최대 5년간 총 10억 원(연 2억 원)의 연구비를 지원받아, 고형암 치료를 위한 CAR-T 세포치료제 기술 개발에 착수한다.
CAR-T 세포치료제는 환자의 면역세포(T세포)를 유전적으로 조작해 암세포만 선택적으로 공격하게 만드는 맞춤형 면역항암제로, 현재는 주로 백혈병, 림프종 등 혈액암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고형암(췌장암, 폐암, 간암, 유방암 등 고체 장기에 생기는 암)은 종양 주변 환경이 복잡해 CAR-T 적용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번 연구의 핵심은 CRISPR 유전자 가위 기술(유전자를 정밀하게 잘라내는 유전자 편집 기술)을 활용해 RNA 증폭 시스템(RNA를 대량 복제하는 기술)을 구현하고, 암세포 표면을 감싸고 면역세포의 인식을 방해하는‘글리코칼릭스(Glycocalyx)’를 제거하는 데 있다.
이번 과제는 성균관대학교 과학수사학과·약학과 송자연 교수가 공동연구원으로 참여한다.
연구진은 이 기술을 통해 CAR-T 세포치료제의 적용 대상을 혈액암에서 고형암으로까지 확장할 수 있는 면역항암 원천기술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유동길 교수는“기존 CAR-T 치료제는 주로 백혈병이나 림프종 같은 혈액암에만 적용돼 왔으나, 이번 연구를 통해 고형암으로의 적용 가능성을 넓히고자 한다”며, “정밀하게 암세포의 방어막을 제거함으로써, CAR-T 세포가 고형암도 효과적으로 인식하고 공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개발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미래도전연구지원사업’은 기존 연구의 틀을 넘어서는 혁신적이고 창의적인 기초연구를 발굴·지원하는 정부 사업이다.
다학제 융합, 학문 패러다임 전환, 국가 연구역량 강화 등을 목적으로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이 매년 공동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번 과제 선정은 한국공학대의 바이오 및 정밀의료 분야에서의 연구 역량과 기술력을 대외적으로 입증한 사례로 평가되며, 향후 국내 면역세포 치료제 기술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와 고형암 환자 맞춤형 치료 기술 개발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