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정전에도 끊기지 않던 연주, 그 손으로 뽑을 ‘쇼팽’은

본문

17575175861838.jpg

2010년 쇼팽 국제 콩쿠르 우승자인 율리아나 아브제예바. [사진 마스트미디어]

2010년 쇼팽 국제 콩쿠르는 유난히 치열했다. 당시 3위 입상자가 다닐 트리프노프였다. 그는 1년 후 차이콥스키 국제 콩쿠르에서 피아노 1위와 전체 대상을 차지한다. 2위는 오스트리아의 잉골프분더. 직전 쇼팽 콩쿠르에서 탈락한 후 폴란드의 전설적 피아니스트인 아담 하라시에비치를 사사하며 재도전한 분더는 경연 내내 팬들의 환호를 받으며 ‘실질적 우승자’라는 찬사를 받았다.

당시 25세였던 율리아나 아브제예바가 결선 무대에 올랐을 때는 작은 사고도 있었다. 쇼팽의 협주곡 1번을 연주하는 도중 무대 위의 조명이 30초 정도 어두워졌다 다시 밝아졌다. 하필 피아니스트의 기량을 요구하는 어려운 부분에서다. 그 까다로운 음표들을 흔들림 없이 연주한 아브제예바는 대회에서 우승했다. ‘피아노의 여제’라 불리는 마르타 아르헤리치 이후 45년 만의 여성 우승자였다.

17575175864497.jpg

1757517586683.jpg

당시 결선 무대에서 조명이 어두워졌던 장면이다. 아브제예바는 흔들림 없이 연주했다.

“2010년의 기억이 생생해 지난 15년이 길지 않게 느껴질 정도다.”

아브제예바는 e메일 인터뷰에서 당시 기억을 떠올렸다. 그는 우승 15년 만인 올해 쇼팽 콩쿠르의 심사위원으로 위촉됐다. 이번 대회는 다음 달 5~23일 열린다. “쇼팽 콩쿠르 기간 폴란드 바르샤바는 도시 전체가 그의 천재성을 축제처럼 기린다. 그 분위기가 음악에 집중하도록 도와준다”는 그는 “심사하면서 모든 참가자의 한 음, 한 음에 마음으로 함께할 것”이라고도 했다.

쇼팽 콩쿠르에 심사위원으로 ‘금의환향’ 한 일은 아브제예바의 경력에서 중요하다. 우승 직후 스포트라이트는 2·3위에게 집중되는 분위기였다. ‘1위 같은 2위’를 한 분더, 뛰어난 음악성을 보여준 트리프노프는 대회 이후 음반 녹음과 연주 기회를 눈에 띄게 많이 얻었다.

아브제예바는 꾸준히 자신의 길을 찾아 걸었다. 무엇보다 자기 생각을 뚜렷하게 보여주는 음악을 뚝심 있게 골랐다. 슈필만·바인베르크·쇼스타코비치·프로코피예프를 한 음반에 넣으며 역사적 상황과 예술의 관계를 물었다. 언제나 드레스 대신 바지 정장을 입고 무대에 올라 자신만의 세계를 구축하는 장면은 2010년 무대가 어두워졌을 때도 계속된 연주를 떠올리게 한다. 15년 동안 묵묵히 9장의 음반을 내며 독보적인 입지를 갖게 됐다. “열정과 기교를 갖췄다”(텔레그라프), “존재감과 에너지”(피츠버그 포스트)라는 언론의 호평도 이어졌다.

메시지가 있는 작품을 선곡하고 그 작품의 이야기를 탐구하는 스타일의 피아니스트다. 그는 “쇼팽을 연주할 때 작곡가 주변인들의 기록까지 읽고, 그가 방문했던 장소도 찾아가 봤다. 이렇게 하면 내 안의 작곡가는 개인적이고 소중한 존재가 된다. 쇼팽의 전주곡 24곡도 이렇게 나에게 하나의 우주가 됐다”고 설명했다.

러시아 태생인 아브제예바는 5세에 피아노를 시작하고 1년 뒤 첫 공개 연주를 했다. 그는 “6살이었지만 관객이 전혀 두렵지 않았고, 무대에서 내려왔을 때 다시 연주하고 싶다고 생각했다”고 돌아봤다. 18세에 그네신 음악학교를 졸업할 때까지 한 선생님(엘레나 이바노바)에게 배웠다. 아브제예바는 “선생님은 ‘객석에 심사위원이나 교수가 앉아있을 수 있지만 그들도 결국 음악을 들으러 온 사람’이라고 늘 강조했다”고 전했다. 이제 심사위원으로 후배들에게 조언할 입장이 된 아브제예바는 “마음속의 음악에 대한 열정을 꼭 붙잡으라”고 했다. “무대가 연주회든 시험이든 자신이 느끼는 것을 가장 진실하게 표현해야 한다. 무엇보다 그 소리가 강력해야 한다. 모든 연주자가 ‘가장 강한 표현’을 목표로 하길 바란다.”

아브제예바는 2014년 첫 내한 독주회 이후 한국 청중의 사랑을 받는 피아니스트로 자리 잡았다. 2년 만의 독주회를 여는 그는 독특한 프로그램을 선보인다. 러시아의 20세기 작곡가 쇼스타코비치와 19세기의 쇼팽이다. 쇼스타코비치와 쇼팽은 J.S.바흐의 평균율에 영감을 받아 각각 24개의 전주곡과 푸가, 24개의 전주곡을 작곡했다. 아브제예바는 이 두 작품집을 한 무대에서 연주한다. “근원은 같지만, 표현은 다르다”며 “쇼스타코비치의 어떤 곡은 쇼팽을 떠올리게 된다”고 설명했다. 또 “1927년 쇼스타코비치가 바르샤바의 제1회 쇼팽 콩쿠르에 참가했다는 사실을 다시 떠올렸다. 상은 받지 못했지만 매우 개성적이고 독창적인 접근을 했다고 알려져 있다”고 덧붙였다. 2014년 쇼팽의 전주곡 전곡, 올해 쇼스타코비치의 전주곡과 푸가 전곡 앨범을 낸 그는 2027년 바흐의 평균율 전곡(48곡) 연주를 계획하고 있다. 이번 공연은 21일 오후 5시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열린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4,208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