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그 아버지에, 그 아들…K조선 첫 '부자 명장' 탄생
-
5회 연결
본문

지난 9일 ‘대한민국 명장’으로 선정된 고민철 HD현대중공업 기사(왼쪽). 아버지 고윤열 명장(오른쪽·2004년 선정)과 함께 조선업 최초의 부자(父子) 명장이 됐다. [사진 HD현대]
조선업계 최초의 ‘부자(父子) 명장’이 나왔다. HD현대는 지난 9일 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2025년 숙련기술인의 날 기념식’에서 HD현대중공업 소속 고민철 기사와 HD현대삼호 소속 유동성 기원이 각각 판금제관·기계정비 직종에서 ‘대한민국 명장’으로 선정됐다고 10일 밝혔다.
이 가운데 고민철 기사는 HD현대중공업에서 근무하다 지난 2004년 제관 직종 명장으로 선정된 고윤열씨의 아들로, 조선업계 최초 부자 명장이라는 기록을 세웠다.
2012년 HD협대중공업에 입사한 고 기사는 플랜트설비생산부를 거쳐 현재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제작 생산파트장을 맡고 있다. 고도의 정밀성이 요구되는 현장에 3차원 측정기기 ‘레이저 트래커’를 도입, 제관구조물 품질 측정의 생산성과 정밀도를 끌어올린 성과를 인정받았다.
그의 아버지 고윤열씨는 1978년 같은 회사에 입사해 40년간 조선·해양 철구조물 제작에 종사했다. 사우디아라비아 주베일 산업항, 동해가스 설비 등 주요 현장을 거쳤고, 2004년 대한민국 명장으로 선정된 바 있다.
고민철 기사는 “이번 명장 선정을 더 정진하라는 뜻으로 받아들이고 더욱 노력하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유동성 기원은 HD현대삼호가 회사 역사상 최초로 배출한 명장이다. 1994년 한라중공업 시절에 입사해 영암조선소 건설부터 참여했으며, 이후 30년간 선박 진수 설비 시스템을 체계화해 안전성과 효율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유 기원은 “명장이라는 이름에 부끄럽지 않도록 기계정비 분야 기술력을 더욱 발전시키겠다”고 말했다.
대한민국 명장은 15년 이상 산업 현장에서 뛰어난 기술과 경험을 쌓아 국가 산업 발전에 기여한 장인에게 주어지는 최고 영예다. 고용노동부와 한국산업인력공단이 주관하며, 올해는 총 11명을 선정했다.
HD현대 관계자는 “현장의 기술력과 장인정신은 회사가 지켜야 할 소중한 자산”이라며 “최고의 기능인들이 자긍심을 갖고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