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이번엔 해병대원 총기 사망...軍 '정신건강 안전망’ 위험신호
-
4회 연결
본문

인천 대청도에서 해병대 병장이 총상을 입고 숨져 군 당국이 조사에 나섰다. 연합뉴스 *기사와 관련없는 사진
인천 대청도에서 지난 13일 총기사고로 해병대 병장이 사망한 사건과 관련, 군 당국은 스스로 상해를 가해 숨졌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조사를 이어가고 있다. 최근 군 장병의 잇따른 사망을 두고 ‘정신건강 안전망’에 적신호가 켜졌다는 지적이 나온다.
14일 수사당국 등에 따르면 전날 오전 인천 옹진군 대청도 해안 부근에서 A 병장(21)이 군용 차량에서 총상을 입은 채 발견됐고, 응급처치 중 숨졌다. 앞서 A 병장은 해안선 정밀수색작전에 투입됐고, 작전을 마친 뒤 다른 부대원에 앞서 차량에 올랐다고 한다.
군은 탄창에 공포탄 2발과 실탄이 들어 있었는데, 총성은 한 번만 들렸다는 목격자 진술 등을 집중적으로 들여다보고 있다. 총기 안전 점검이 제대로 이뤄졌는지도 조사하고 있다. 해병대는 14일 오후 언론 공지를 통해 “사고 발생 이후 유가족, 군·경 합동, 국가인권위 등 입회하에 현장감식 및 검시를 했다”며 “유가족 동의로 국군수도병원에서 장례절차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보름 새 군 간부 3명 극단선택
최근 군에선 장병 사망 사고가 잇따르고 있다. 지난 8일 경기도 고양시 군인아파트에서 육군 통신 부대 소속 B중사가 숨진 채 발견됐다. 현장에서는 유서가 발견됐다.
지난 2일엔 경북 영천 육군3사관학교 훈련 장교 대위 C씨가 대구 수성못 인근에서 총기 상해로 숨졌다. 부대 내 괴롭힘이 있었다는 유서가 공개되면서 수사기관이 경위 파악에 나섰다. 그가 3사관학교에서 수성못까지 K2 소총과 실탄을 소지한 채 이동한 사실이 드러나면서 총기 관리 문제가 불거지기도 했다.
지난달 23일엔 하사 D씨가 육군 2군단 예하 15사단 최전방 감시초소(GP)에서 총상을 입은 채 발견됐고, 병원으로 이송됐으나 숨졌다.
안규백 장관이 “분야별 맞춤형 자살 예방 대책 등 제도적 방안을 적극적으로 시행해 사고 예방에 전력을 다할 것”(지난 5일 주요 지휘관 회의 발언)이라고 지시를 내렸지만 사고는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유용원 국민의힘 의원에 따르면 최근 4년간 군 의료기관에서 정신건강의학과 진료를 받은 병사는 2021년 5만 5312명에서 지난해 4만 8568명으로 줄었다. 다만 이는 병역 자원 감소로 인한 현상일 뿐 여전히 사각지대가 존재한다는 지적이다. 같은 기간 정신건강의학과 진료를 받은 부사관·위관 장교는 4985명에서 6497명으로 늘었다.
9년간 군에서 근무한 백명재 경희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병사들의 정신건강 악화 문제는 일·이병에 국한됐던 과거와 다르게 계급과 관계없이 나타나고 있다”며 “병영생활 전문상담관이 전 부대를 아우르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틈새를 좁히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이 있거나 주변에 이런 어려움을 겪는 가족·지인이 있을 경우 자살예방 상담전화 ☎109 또는 자살예방 SNS상담 ‘마들랜’에서 24시간 전문가의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