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사도광산 추도식, 일본 또 강제동원 언급 안했다

본문

17578667293283.jpg

13일 일본 정부 대표로 사도광산 추도사를 읽는 오카노 외무성 국제문화교류심의관. [연합뉴스]

일본이 과거 사도(佐渡)광산에 조선인을 강제 동원한 사실을 올해도 인정하지 않았다. 지난 13일 한국이 불참한 채 열린 ‘반쪽짜리’ 추도식에서다. 이재명 정부가 미래지향적 관계 발전을 위한 전향적 행보를 보이고 있으나, 역사 문제에서는 일본의 경직성이 여전하다는 평가다.

교도통신 등에 따르면 일본 사도광산 추도식 실행위원회는 이날 니가타현 사도시 아이카와개발종합센터에서 일본 측 인사 약 70명이 참석한 가운데 추도식을 열었다. 일본 정부 대표로는 오카노 유키코 외무성 국제문화교류심의관이 참석했다. 오카노는 국장급으로, 차관급인 외무성 이쿠이나 아키코 정무관이 참석했던 지난해에 비해 급이 낮아졌다.

사도광산은 태평양 전쟁 당시 조선인 약 1500여명이 끌려가 강제노역에 시달린 장소다. 일본 정부는 지난해 이 광산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하며 강제징용 역사를 알리기로 약속했다. 하지만 전시실 어디에도 강제성을 명확히 드러내는 표현은 없고, 지난해 첫 추도식에서도 이를 인정하지 않겠다고 해 한국은 불참했다.

이번 추도식에서도 일본의 태도는 그대로였다. 오카노는 추도사에서 “조선반도에서 온 노동자는 전쟁이라는 특수한 사회환경 아래라 하더라도 위험하고 잔혹한 환경에서 힘든 노동에 종사했다. 선조가 이어온 역사를 되새기며 미래로 계승해 나갈 것을 다시 한번 다짐한다”고 말했다.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강제성은 언급하지 않은 채 ‘합법적 식민 지배하에서 합법적 동원령에 따른 조치’라는 기존 논리를 반복한 셈이다.

한·일관계 연구자 요시자와 후미토시 니가타국제정보대 교수는 교도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작년과 동일한 일본 정부 발언은 피해자를 모욕한 것이 된다. 감사가 아니라 사죄라는 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아사바 유키 도시샤대 교수도 “세계유산은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을 포함해 전체 역사를 전하는 것”이라며 “원하는 것만 잘라 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정부는 추도식이 그 취지와 성격에 합당한 내용과 형식을 갖춰 온전하게 치러져야 한다는 입장이며, 앞으로도 일 측과 계속 협의해 나가고자 한다”고 말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375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