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못난' 여성의 얼굴 통해 고도성장 이면의 …

본문

17579196568574.jpg

영화 '얼굴'에서 전각 장인 영규(권해효)의 젊은 시절과 아들 동환, 1인2역을 연기한 배우 박정민. 사진 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추하다'는 건 과연 뭘까. 우리는 어떤 기준에서 추하다, 아니다를 판단하고 있는 걸까.
연상호 감독이 쓴 동명 만화가 원작인 영화 '얼굴'(11일 개봉)은 '못생겼다'는 꼬리표를 달고 살던 한 여인의 죽음을 둘러싼 진실을 추적하는 여정을 그렸다.

영화 '얼굴' 연상호 감독 인터뷰

인간의 추악한 내면을 한꺼풀 씩 벗겨내는 과정에서 '추함'이란 사회적 낙인이 얼마나 폭력적이고 잔인한지, 편견과 혐오라는 괴물이 우리 안에 어떻게 싹트는지 등 불편한 진실이 적나라하게 드러난다.

영화는 시각 장애를 딛고 전각 장인이 된 영규(권해효)의 다큐멘터리를 찍는 장면으로 시작한다. 어느 날 그의 아들 동환(박정민)에게 40년 전 실종된 어머니 영희(신현빈)가 백골 시체로 발견됐다는 연락이 전해지고, 동환은 특종에 목 마른 다큐멘터리 PD 수진(한지현)과 함께 어머니 죽음에 대한 진실을 추적한다.

17579196571267.jpg

영화 '얼굴'에서 동환(박정민)은 40년 전 실종됐다 백골 시체로 발견된 어머니 영희의 죽음에 대한 진실을 다큐멘터리 PD와 함께 파헤친다. 사진 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장례식장을 찾은 영희의 누이들, 영희가 일했던 청계천 의류공장 사람들은 하나같이 "영희가 못생겼다"고 말한다. 공장 사람들은 영희를 '똥걸레'라고 불렀다.

'얼굴'은 냉혹한 시선과 편견 속에서 꿋꿋이 버텨온 한 여인의 비극적 삶을 통해 묵직한 사회적 메시지와 함께 먹먹한 여운을 남긴다. '돼지의 왕', '사이비', '지옥' 등에서 우리 사회의 어두운 이면과 부조리를 파고 들었던 연 감독의 날카로운 시선과 풍자가 다시 한번 빛을 발한다.

15일 서울 삼청동 카페에서 만난 그는 "성취에 집착하는 나 자신은 어디서부터 비롯됐나 라는 의문에서 시작한 작품"이라며 "영규와 영희, 두 사람의 대비를 통해 이야기를 풀어갔다"고 말했다.

17579196573731.jpg

영화 '얼굴'을 연출한 연상호 감독. 사진 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시각 장애란 핸디캡을 극복하고 '살아있는 기적'으로 칭송받는 영규가 1970년대 고도 성장 시대를 상징하는 인물이라면, 영희는 그 이면에서 편견과 냉대를 온몸으로 떠안고 살았던 이들의 아픔을 대변하는 캐릭터라는 설명이다.

연 감독은 "고도 성장을 이뤄낸 우리 현대사가 무엇을 잃고, 누구를 착취했는지에 대한 질문 같은 영화"라면서 "비슷한 상황이 얼마든지 발생할 수 있는데, 그 때 이 우화 같은 얘기가 도움이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영화는 영희의 얼굴을 마지막까지 꽁꽁 숨긴다. 볼 수 없는 영희의 얼굴은 영규의 내면에 큰 파장을 일으키는 동시에, 관객의 궁금증을 증폭시킨다.

17579196576562.jpg

1970년대 청계천 의류 공장에서 일하던 영희의 뒷모습.사진 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연 감독은 "'얼굴'은 영규의 뒤틀린 내면으로 관객을 안내해가는 영화"라며 "그러기 위해선 영규와 마찬가지로 관객이 영희의 얼굴을 상상할 수 밖에 없는 환경을 만들어야 했다"고 설명했다.

엔딩 신에서 공개되는 영희의 사진에 대해선, "세상에 없는 얼굴이면서 어디에나 있는 얼굴을 표현하려 했다"며 "영희의 얼굴을 통해 극이 아닌 현실로 뻗어나가는 느낌을 주고 싶었다"고 말했다.

영희의 얼굴은 배우 신현빈의 얼굴에 70년대를 살았던 영희 연령대 여성들의 여러 얼굴을 합성해 만들어냈다. 원작과 가장 많이 달라진 부분으로 연 감독은 영희가 좀 더 주체적인 여성으로 그려진 점을 꼽았다.

'얼굴'은 2억원대의 저예산으로 3주 만에 완성한 작품이다. 하지만 70년대 청계천 거리와 의류 공장 등을 사실적으로 구현하는 등 완성도는 상당하다. 연 감독은 "저예산이다 보니 눈치 안보고 배우들과 많은 대화를 나누며 여유 있게 찍었다"면서 "콘텐트의 힘이 있다면 작은 영화도 얼마든지 흥행할 수 있다는 걸 보여주고 싶다"고 말했다.

영화의 완성도에 정점을 찍은 건 배우들의 열연이다. 박정민은 젊은 시절의 영규와 아들 동환, 1인 2역을 능란하게 넘나들었고, 권해효 역시 오랜 연기 내공을 뿜어냈다.

17579196578882.jpg

영화 '얼굴'에서 영규(권해효)는 선천성 시각장애를 딛고 전각 장인으로 거듭난다. 사진 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17579196581427.jpg

영화 '얼굴'에서 전각 장인 영규(권해효, 왼쪽)과 아들 동환(박정민) 앞에 40년 전 실종된 아내이자 엄마인 영희가 백골 시체로 나타난다. 사진 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연 감독은 "박정민이 출연료도 안 받겠다며 캐스팅에 흔쾌히 응해준 게 영화의 출발점"이라면서 "영규가 과거를 독백으로 읊는 장면에선 권해효 배우가 캐릭터에 빙의된 듯 연기해 모두가 몰입해서 봤다"고 말했다.

이어 "박정민의 아버지, 권해효 배우의 장인이 시각장애인이란 사실은 캐스팅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며 "영화 초반 영규가 차고 있는 시각장애인용 시계는 권 배우의 장인이 사용하던 것"이라고 덧붙였다.

얼굴이 한 번도 노출되지 않은 신현빈 배우에 대해선 "얼굴이 안 나오기 때문에 어깨나 손의 움직임, 목소리 톤 등을 정교하게 설계해왔다"면서 "그런 실험적 연기를 하는 건 배우로서 큰 도전"이라고 말했다.

연 감독의 차기 연출작은 '군체'다. 정체 불명의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람들이 예측할 수 없는 형태로 진화하며 생존자들을 위협하는 이야기다. 그는 "인공지능과 집단주의에 관한 영화여서 '부산행'과는 다른 공포를 선사할 것"이라며 "애니메이션을 한다면 이전 작품들과 다르게 상업적 가능성이 큰 작품을 해보고 싶다"고 했다.

"요즘 극장 영화가 비용과 함께 (관객이 느끼는) 호불호를 줄이는 쪽으로 가고 있는데, 그게 좋은 방향이라고 생각하지 않아요. 예산에 상관없이 더 뾰족하고 개성이 강한 영화를 만들어야 관객이 만족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584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