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NIA, 디지털 트윈 기술 체험 국민 포털 개방

본문

17579303205687.jpg

도심형 대국민 포털 이미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원장 황종성, 이하 NIA)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배경훈, 이하 과기정통부)는 9월 5일부터 대국민 포털을 통해 ‘디지털 트윈 시범구역 조성 사업’의 주요 성과를 전면 개방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행정서비스의 디지털 전환은 물론 국민 누구나 디지털 트윈 기술을 일상에서 활용할 수 있다.

‘디지털 트윈 시범구역 조성 사업(이하 시범구역 사업)’은 2024년부터 본격 추진된 사업으로, 디지털 트윈 기술을 시범구역(도심형·농어촌형)에 연계·집약함으로써 도시 안전·해양 환경 등 다양한 분야에서 위험 요소를 사전에 분석·예측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으며, 나아가 수출할 수 있는 한국형 모델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도심형 대국민 포털인 ‘1365 트윈’은 ‘1년 365일 디지털 트윈 기술로 시민의 안전을 지킨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국민은 트윈맵을 통해 4가지 대국민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CCTV 정보조회 서비스”를 통해 부산진구 관내 CCTV 위치와 관리정보(장소명, 관리부서 등)를 확인할 수 있으며, 시민들이 직접 원하는 곳에 가상 CCTV를 설치해 보는 체험이 가능하다.

“보행환경 위험지도 서비스”는 보호구역·교통사고·교통안전시설 취약지 정보와 실제 거리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산사태 취약지 분석 서비스”는 산사태 취약지에 대한 모니터링 정보와 72시간 내 산사태 위험도를 단계별로 확인할 수 있다.

“정비사업 지정요건 분석 서비스”는 국민이 선택한 지역의 도로 연결률, 집 밀도, 작은 땅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농어촌형 대국민 포털 ‘E_UM’은 ‘실제와 가상을 연결한다’라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통합플랫폼을 통해 4가지 대국민 서비스를 제공한다.

실시간 정보에서는 통합대기환경지수, 통합해양환경지수, 선박 연식별 유해물질 배출 정보, 과거 선박 사고 이력을 확인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에서는 대기오염 48시간 확산 예측, 해양오염 물질 이동경로, 선박안전 사고예방 경로 추천, 선박 탄소배출 분포를 확인할 수 있다.

대시보드에서는 어업에 필요한 해양·대기 정보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생활정보에서는 구룡포·호미곶 행사정보, 무더위쉼터 등을 제공한다.

NIA는 2차년도 신규 서비스를 대국민 포털에 연말까지 순차 개방한다.

도심형 시범구역에서는 도심 공기질 관리, 스마트 응급대응 시민안심, 도심 인공조명 생활안전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며 농어촌형 시범구역에서는 구룡포항 침수 대응, 방파제 보행자 안전, 수산물 유통 정보화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NIA 황종성 원장은 "그간 분야별로 구축된 디지털 트윈 기술들을 모아서 연결해 국민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며, "국민이 일상에서 디지털 트윈을 직접 체험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612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