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골프여제도 “연년생 육아 힘드네”
-
4회 연결
본문

지난 13일 열린 제3회 더 시에나 컵에서 참가자들에게 자신의 장기인 퍼트 원포인트 레슨을 해주고 있는 박인비. [사진 더 시에나 그룹]
골프채 잡는 시간보다 아기용품 챙기는 시간이 많아졌다. 골프 감각도 예전 같지는 않다. 그래도 자신을 따라 클럽을 휘두르는 딸을 보면 스트레스가 저 멀리 달아난다. 덩달아 골프를 보는 시야도 더 넓어지고 다채로워졌다.
‘골프 여제’에서 ‘연년생 엄마’로 변신한 박인비(37)를 지난 13일 경기도 광주시의 더 시에나 서울 컨트리클럽(옛 중부 골프장)에서 만났다. 지난해 10월 둘째 출산 후 모처럼 만의 인터뷰라는 그는 “30개월 첫째와 11개월 둘째를 보느라 정신이 없다. 연년생 막내가 생기니 두 배가 아니라 열 배로 힘이 든다”며 “앞으로의 진로를 계속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투어 통산 21승을 거둔 박인비는 설명이 필요 없는 ‘전설’이다. 2007년 데뷔한 뒤 이듬해 US여자오픈을 제패하며 이름을 알렸고, 2015년에는 아시아인 최초로 커리어 그랜드슬램을 달성했다. 이어 2016년 당시 기준으로 역대 최연소 명예의 전당 회원이 됐고, 같은 해 열린 리우올림픽에서 개인전 금메달을 따내며 골든 커리어 그랜드슬램이라는 새 역사를 썼다.

박인비(왼쪽)와 남편 남기협 코치(오른쪽)가 막내 연서(아래)의 백일잔치 때 인서와 연서를 안고 있다. [사진 박인비 인스타그램]
이후에도 현역으로 활약하던 박인비는 2022년 8월 브리티시여자오픈을 끝으로 필드와 멀어졌다. 2023년 4월 첫째 인서, 지난해 10월 둘째 연서를 낳으며 선수의 짐을 잠시 내려놓았다. 이후에는 육아 예능 프로그램 출연 등으로 근황을 알렸다. 박인비는 “요새는 특별하지 않은 육아의 일상이 반복된다”며 “하나까지는 괜찮았는데 연년생을 키우려니 보통 일이 아니다”라며 멋쩍게 웃었다.
박인비와 관련된 최대 관심사는 역시 현역 복귀 여부. 돌아올 뜻이 있는지, 있다면 언제쯤일지 묻자 예상보다 단호한 답이 돌아왔다. “솔직히 선수로서 복귀는 쉽지 않을 것 같다”고 했다. 그는 “경쟁력을 다시 갖추기가 쉽지 않다”며 “애들을 놓고 다닐 생각을 하니까 더욱 힘들다”고 했다. 대신 “훗날 행정가로 나설 생각은 있다. 스웨덴의 골프 전설인 안니카 소렌스탐이 회장으로 있는 세계골프연맹(IGF)과도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고 덧붙였다.
천하를 호령했던 여제의 요즘 골프 실력은 어떨까. 박인비는 “이제는 잘 치는 아마추어 정도”라고 겸손하게 말했다. 인터뷰 때 곁을 지킨 친구 최나연의 증언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그는 “원래 나서서 만남을 정하는 스타일이 아닌데, 얼마 전 V157(박인비·최나연·신지애·이보미 등의 친구 모임) 라운드를 인비가 주도했다”며 “다만 실력은 당연히 예전 같지는 않다. 우리끼리 ‘저 아줌마 거리 좀 나온다’고 놀리는 정도”라고 말했다.
대화는 자연스레 최근 한국 여자골프 얘기로 이어졌다. 박인비를 비롯한 1980년대생 선수들이 대거 떠난 지금, 한국은 LPGA 투어에서 이전과 같은 결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박인비가 활약할 때는 1년 15승도 합작했지만, 지금은 5승 채우기도 버겁다. 올 시즌 한국 선수들의 우승 횟수는 현재까지 4승이다.
박인비는 “후배들이 LPGA 투어 진출을 꺼리는 이유는 이해한다. 성공 가능성이 불투명하고, 해외에서 뛰면 국내 스폰서 계약이 끊길 수도 있다”며 “그래도 후배들이 계속해 해외로 나가야 한다고 생각한다. 정상급 선수들이 있는 곳에서 뛰어야 느끼는 바가 많다”고 조언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