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장애인 일자리 연 1만2000개”...서울시, 중증 장애인 전문 직업학교 만든다
-
3회 연결
본문

오세훈 서울시장이 16일 오전 '2530 장애인 일상활력 프로젝트'를 발표하고 있다. 사진 서울시
서울시가 장애인도 사회구성원으로 자립할 수 있게 지원에 나섰다. 오는 2030년까지 장애인 공공일자리를 연간 1만2000개로 늘리고, 중증 장애인도 직업을 가질 수 있게 ‘장애인 전문 직업학교’를 만든다.
서울시는 이런 내용이 담긴 5개년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장애인이 활력있는 일상을 누릴 수 있는 도시 실현’이 목표다. 이를 위해 2030년까지 2조405억원을 투입한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땀 흘려 일하고 당당하게 자립할 수 있는 일자리, 안심하고 거주할 수 있는 집과 자유로운 이동, 사회 참여 등 누군가에게는 당연한 일이 장애인들에게는 도전의 연속이 되지 않도록 장벽을 허물고 문턱을 없애나가겠다”고 밝혔다.
서울시에 따르면 시의 등록 장애인 수는 약 38만5000명으로 85%가 만성질환을 앓고 있다. 74%가 가족 돌봄에 의존하며 15살 이상의 취업률은 37%에 불과하다. 중증 장애인 대상 조사 결과 응답자의 절반 가까이 ‘일자리와 소득’을 가장 필요한 지원으로 꼽기도 했다.

이에 따라 서울시는 공공일자리를 현재 연 5000개에서 2030년까지 1만2000개로 늘릴 예정이다. 발달ㆍ뇌 병변 장애인을 위한 전문 직업학교도 신설할 예정이다. 정보통신기술(ICT)과 3차원(3D) 모델링 등 미래 유망산업 관련 교육도 있다.
주거와 돌봄도 강화된다. 최장 20년간 살 수 있는 장애인 지원주택은 336가구에서 500가구로 확대하고, 장애인 3~4명이 함께 살면서 돌봄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공동생활가정’은 150여곳에서 250곳으로 늘린다.
전국 최초 장애인 암 조기 검진도
중증장애인의 낮은 건강검진 수검률을 반영해 전국 최초로 ‘서울형 장애인 암 조기 검진’ 서비스도 도입한다. 위암은 30∼39세, 대장암은 40∼49세에 검진받을 수 있다. 중위소득 180% 이하 가정의 9세 미만 장애아동 2000명에게는 연간 의료비 100만 원을 지원한다.
장애인의 이동권을 보장하기 위해 최첨단 기술을 활용한 보조기기도 보급한다. AI와 로봇 기술을 활용해 계단을 오르내리도록 도와주는 ‘클라이밍 휠체어’와 보행보조 로봇 등 최첨단 보행 보조기기를 500명에게 보급한다. 특히 시내버스(2032년까지)와 마을버스(2030년까지)를 100% 저상버스로 전환할 방침이다. 오 시장은 ”장애인은 복지의 수혜자가 아니라 우리 사회를 함께 만들어가는 주체로 인식하는 것이 약자동행 철학의 근간“이라며 “장애인의 보통의 하루가 특별한 이벤트가 아닌 평범한 일상이 되는 서울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