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가을철 '태양광 과잉공급'에 정전 위험↑...&#034…

본문

17580107921957.jpg

국내의 한 태양광발전소 전경. 기사 내용과 관련없음. 연합뉴스

올가을 전력수급에 비상이 걸렸다. 전력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남아도는 게 문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6일 전남 나주 전력거래소에서 한국전력·한국수력원자력 등이 참여한 가운데 ‘가을철 경부하기 대비 전력계통 안정화를 위한 비상모의 훈련’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실시간 전력 수급 파악과 발전 출력 제어, 기관 간 조치 계획 점검 등이 이뤄졌다.

가을은 일조량이 풍부해 태양광 발전이 늘지만, 올해는 최장 열흘에 달하는 추석 연휴로 전력 사용이 줄 가능성이 커졌다. 정전은 전력 공급이 부족해 일어나지만, 공급이 수요를 뛰어넘어도 발생한다. 이에 정부는 전력계통 비상 점검에 나섰다.

전력망은 발전량과 소비량 균형이 핵심이다. 여름철 냉방 수요에 맞춰 발전을 늘리듯, 봄·가을에는 냉난방 수요가 줄어드는 만큼 공급도 조절해야 한다. 산업부는 이번 연휴 중간에 있는 추석 당일 전력 수요가 최저치에 이를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에 따라 발전을 일시적으로 줄이는 출력 제어 등 조치를 진행할 방침이다. 석탄 발전단지 운영을 최소화하고, 수요자원(DR·당국의 요청이 오면 전기 사용량을 늘리거나 줄이도록 사전에 약속) 제도도 필요 시 활용할 계획이다.

문재인 정부 시절 급증한 태양광·풍력 설비 탓에 봄·가을마다 공급이 수요를 넘어서는 현상이 반복되고 있다. 출력 제어도 크게 늘고 있다. 산업부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출력 제어량(제주도 제외)은 164.4GWh(기가와트시)로, 지난해 전체 출력 제어량(13.2GWh)의 12.5배에 달하는 수준이다. 이는 4인 가구가 하루 평균 300~400kWh의 전력을 사용하는 것을 고려하면 최대 1400만 가구가 하루 동안 쓸 수 있는 양이다.

지난해 태양광 출력 제어는 26회(7899MWh·메가와트시), 풍력은 16회(157MWh)에 불과했지만, 올해 상반기에 이미 태양광 44회(6만4057MWh), 풍력 37회(8249MWh)로 전년 수치를 크게 뛰어넘었다. 출력 제어율(전체 발전량 추정치에서 출력 제어가 차지하는 비율)도 태양광(0.03→0.3%)·풍력(0.005→0.4%) 모두 급증했다. 올해 상반기에는 태양광뿐 아니라 원전·연료전지 등 기저 전원까지 출력 제어 지시가 내려졌을 정도다.

전기를 실어나를 송전망 확충이 뒤따르지 않은 것도 문제다. 전력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태양광 발전설비는 2015년 2.5GW에서 올해 초 27.4GW로 늘었지만, 송전선로는 같은 기간 8.5% 늘어난 데 그쳤다. 전기는 10배로 늘었는데, 길은 그대로인 셈이다. 주민 반대와 환경 규제가 발목을 잡았다.

과거엔 출력 제어가 제주도에 국한됐지만, 지난해부터 육지에서도 발생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국내 전력계통 안정성 저하가 심각해졌다”고 입을 모은다. 한 전력업계 관계자는 “재생에너지 확대 흐름에 따라 출력 제어가 불가피한 측면이 있지만, 한국은 사실상 ‘전기의 섬’이어서 앞으로 출력 제어가 더 빈번하게 이뤄질 경우, 정전 위험도 그만큼 높아질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지난 4월 스페인에서 발생한 대규모 정전도 재생에너지 발전의 과도한 쏠림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됐다. 스페인은 평소에도 전력 생산의 약 60%를 재생에너지로 충당할 만큼 유럽 내 대표적인 재생에너지 강국이다. 그러나 정전 당일에는 태양광 발전 비중이 80%에 육박하면서 전력망이 급격히 불안정해졌다. 유럽 대륙 전력망과 연결된 스페인조차 전력 수출입 조정으로 이를 막지 못했다.

이 와중에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11일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가장 빠른 전력 공급은 태양광·풍력”이라며 “1~2년 안에 대대적으로 건설하라”고 속도전을 지시했다. 정부는 내년도 재생에너지 예산을 올해보다 50% 증액했다. 이에 재생에너지 출력 제어는 당분간 더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 산업부 관계자는 “중장기적으로 송전망 확충과 에너지저장장치(ESS) 보강이 필요하지만, 단기적으로는 출력 제어를 활용하는 것이 불가피하다”고 설명했다.

유승훈 서울과학기술대 미래에너지융합학과 교수는 “태양광 출력 제어는 문자 안내가 나가면 발전사업자가 직접 스위치 내리는 수동 방식으로 진행돼 일부 사업자는 이에 응하지 않거나 보상을 요구하고 있지만, 이는 전기요금 인상 압력으로 이어진다”며 “출력 제어에 따른 전력계통 불안정이 정전 등 참사로 이어지기 전에 보상과 참여의 균형 있는 제도 설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879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