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트럼프 "마진 큰 반도체·의약품, 자동차보다 관세 높을 수도"
-
4회 연결
본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6일(현지시간) 워싱턴 DC 백악관 남쪽 잔디밭에서 출발하는 마린 원에 탑승하기 전 기자들과 대화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반도체·의약품 등 고수익 품목에 대해 자동차(25%)보다 더 높은 관세를 부과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ABC뉴스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16일(현지시간) 영국 방문길에 백악관을 나서며 기자들과 만나 “자동차 관세를 25%에서 15%로 낮추는 타협은 없었다”고 강조했다. 그는 “그들은 수년간 아무 관세도 내지 않았다. 이제 15%를 내고 있으며 어떤 것은 더 많은 관세를 낼 수 있다”며 “반도체는 더 낼 수 있고, 의약품도 더 낼 수 있다. 반도체와 의약품은 이익률(margin)이 (자동차보다) 더 높다”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과거 반도체에 최대 100%, 의약품에 150~250% 관세 부과 가능성을 언급한 바 있다. 그는 “유럽연합이 우리나라에 9500억 달러를 내고 일본은 6500억 달러를 내고 있다”며 자신이 취임 전까지는 “아무것도 내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또 연방대법원의 관세 소송 심리와 관련해선 “법률 전문가 모두 우리가 이겼다고 본다”며 보수 우위 대법원에 대한 신뢰를 드러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시사한 중국 동영상 플랫폼 틱톡과의 합의를 재확인하기도 했다. 그는 “중국과 합의에 도달했다. 금요일 시진핑 국가주석과 통화해 확정할 것”이라며 “매우 큰 기업들이 틱톡 인수에 관심을 보인다”고 했다. 그는 틱톡을 미국에서 계속 사용하도록 법 시행을 유예하고, 미국 기업의 대주주 지분 인수를 추진 중이라고 강조했다고 매체가 전했다.
미국에서 인기가 많은 틱톡은 모회사가 중국 바이트 댄스라는 점에서 중국 정부의 개인정보 탈취나 해킹에 이용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이에 미국 의회는 틱톡의 미국 사업권을 미국 기업에 매각하지 않으면 미국 내 틱톡 서비스를 금지하는 ‘틱톡 금지법’을 제정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틱톡을 미국에서 계속 사용할 수 있도록 이 법의 시행을 유예하고, 틱톡의 대주주 지분을 미국 기업이 인수하는 방향으로 중국 측과 협상을 진행해왔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