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아버지는 감독, 나는 통역…그런 축구팀 꿈꿨다”
-
3회 연결
본문

16일 K리그 명예의 전당 헌액식에 아버지 고 유상철 전 감독(배경 사진)을 대신해 참석한 아들 유선우씨(오른쪽). [사진 프로축구연맹]
“아버지께서 직접 소감을 전하셨다면 좋았을 텐데, 오늘따라 아버지 생각이 많이 나네요.”
고(故) 유상철 전 인천 감독의 장남 유선우(25)씨는 트로피를 들고 눈시울을 붉혔다. 16일 한국프로축구연맹이 서울 아산정책연구원에서 개최한 제2회 K리그 명예의 전당 헌액식에서다. 유 전 감독은 이날 ‘선수 부문’ 헌액자로 선정됐다.
1994년 현대 호랑이(현 울산)에서 프로에 데뷔한 유 전 감독은 수비·미드필더·공격을 가리지 않고 그라운드를 누비는 멀티플레이어로 이름을 날렸다. 98년엔 K리그 득점왕도 차지했다.
태극마크를 달곤 2002 한·일 월드컵 4강 신화를 이끌었다. 조별리그 첫 경기에서 폴란드를 상대로 시원한 중거리 슛 득점을 올려 한국의 2-0 완승에 쐐기를 박았다. 이어 일본 J리그 무대에서 활약한 뒤 2005년 울산으로 복귀했고, 이듬해 현역에서 은퇴했다. 이후 지도자의 길을 걸었던 유 전 감독은 2021년 췌장암 투병 끝에 세상을 떠났다.
이날 헌액식에 참석한 아들 유씨는 “얼마나 대단한 선수였는지 다시 한번 느끼게 됐다”며 눈시울을 붉혔다. 유씨는 초·중·고를 미국에서 다녔다. 그 탓에 아버지가 뛴 경기를 본 기억이 많지 않다고 했다. 그는 “부자가 상봉하는 건 1년에 한두 번 정도였다”고 말했다. 아버지의 진면목을 알게 된 건 성인이 된 뒤였다. 한국외대 3학년이던 2023년 K리그1 수원FC에서 1년간 통역을 맡으면서다. 유씨는 “축구계에 들어와 보니 아버지를 모르는 사람이 없더라. 유상철은 어딜 가나 ‘레전드’로 통했다”고 털어놨다.
올해 대학을 졸업한 유씨는 그라운드에서 아버지의 대를 잇는 게 꿈이다. 그는 “사실 아버지는 감독, 나는 통역으로, 같은 팀에서 부자가 활약하는 것을 꿈꾸던 시절이 있었다”며 “그건 이뤄지지 않았지만, 아버지의 꿈을 이어받아 한국 축구의 발전에 기여하고 싶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김병지, 데얀, 김주성(이상 선수 부문), 정몽준 KFA 명예회장(공헌자 부문), 김호 전 수원 감독(지도자 부문)도 명예의 전당에 헌액됐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