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단독]내란 특검, '국정원 출신' 박선원 추가 조사…조태용 수…
-
6회 연결
본문

박선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지난 4일 오후 서울 서초동 서울고등검찰청에 마련된 내란 특별검사팀 사무실에 참고인 신분으로 출석하고 있다. 뉴스1
내란 특검팀(특별검사 조은석)이 국가정보원 1차장 출신 박선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을 오는 18일 추가로 조사한다.
17일 정치권에 따르면 특검팀은 오는 18일 오전 10시 박 의원을 참고인 신분으로 재소환한다. 조태용 전 국정원장의 직무유기 등 혐의와 지난해 12·3 비상계엄 당시 국정원 역할 등에 관해 중점적으로 질의하기로 했다고 한다. 비상계엄 당시 국회 정보위 야당 간사이던 박 의원이 조 전 원장에게서 계엄 선포 전후 보고받은 내용이 있는지, 조 전 원장이 보고 책임을 인식하고도 이행하지 않은 정황이 있는지 등을 조사할 계획이다.
조 전 원장은 지난해 12월 3일 오후 8시56분쯤 대통령실로 호출돼 윤석열 전 대통령에게서 계엄 선포 사실을 미리 전해 들었다. 특검팀은 국정원법 제15조상 국정원장은 국가 안전보장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상황이 발생하면 지체 없이 대통령 및 국회 정보위원회에 보고해야 하는데, 이를 위반했다고 보고 있다.
이와 관련 특검팀은 이날 국회 정보위 소속인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도 참고인 신분으로 조사해 조 전 원장의 보고 여부 등을 질문했다. 김 원내대표를 상대로는 홍장원 전 국정원 1차장이 ‘체포조 명단’을 폭로한 경위 등에 관해서도 물어봤다고 전해졌다. 김 원내대표는 폭로 전 홍 전 차장을 면담했다.

내란 특검팀(특별검사 조은석)은 조태용 전 국정원장을 직무유기 등 혐의로 수사하고 있다. 사진은 조 전 원장이 지난달 20일 서울 서초구 순직해병 특검팀(이명현 특별검사) 사무실에서 조사를 받기 위해 출석하는 모습. 뉴스1
특검팀은 2020~2022년 국정원 기획조정실장, 제1차장을 거친 박 의원에게 계엄 당시 국정원의 역할에 관해서도 물어볼 것으로 예상된다. 국정원은 계엄 선포 후 전체 직원의 약 30%에 해당하는 130여명이 재출근했고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부정선거 의혹을 수사할 계엄사령부 합동수사본부에 직원을 파견한다는 내부 문건을 만들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국정원은 지난 10일 보도자료를 통해 직원들은 자발적으로 출근했고, 문건은 범국가적 비상 대비 계획을 단순 인용한 것뿐이라고 해명했다. 해당 의혹은 지난 11일 국회 정보위 회의에서 다뤄졌다.
특검팀은 앞서 지난 4일에도 외환 수사 관련 박 의원을 참고인 신분으로 조사했다. 박 의원은 당시 조사를 마친 후 ‘몽골 공작 의혹’은 정보망 재건 차원이라는 국군정보사령부 측 설명과 달리 “저 사람들(정보사)이 진술한 것과 내가 알고 있는 부분은 다르다”며 “그 부분을 정확히 진술했다”고 말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