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한·미·일 언론사의 생존법 “장벽 낮추고 서비스 다양화 해 구독자 늘려”[글로벌 미디어 컨퍼런스]

본문

뉴미디어의 등장, 인공지능(AI)의 진화, 독자층의 변화…. 급변하는 환경은 ‘레거시 미디어(Legacy media)’의 위기론을 증폭시키고 있다. 그러나 살아남을 방법은 있다. 디지털 기사 유료화 전환 사업을 정착시킨 뉴욕타임스, 100만명의 온라인 구독자를 유치한 니혼게이자이 신문(닛케이) 등이 ‘생존 모델’로 꼽힌다. 국내에선 중앙일보가 유료화 서비스 ‘더중앙플러스’를 운영하고 있다.

디지털 미디어 실험을 이끌어 온 한·미·일 언론사 리더들이 한자리에 모여 각자의 생존 전략을 공유했다. 중앙일보 창간 60주년을 맞아 17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글로벌 미디어 컨퍼런스’에서다. 연사로 나선 한나 포펄 뉴욕타임스 최고데이터책임자(CDO), 와타나베 히로유키(渡辺洋之) 니혼게이자이 신문 최고디지털책임자(CDIO), 김영훈 중앙일보 모바일서비스총괄은 “독자와의 관계를 복원하고, 발전하는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구독 장벽 낮추고 구독자 만족도 높여라”

17581079961888.jpg

중앙일보 창간 60주년 글로벌 미디어 컨퍼런스가 17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렸다. 데이1 세션3 기술키트에서 뉴욕타임즈의 AI전략을 주제로 한나 포펄 뉴욕타임스 CDO가 발표하고 있다. 장진영 기자

정말로 미디어의 위기인가. 이에 대해 3사의 판단은 비슷했다. 포펄 CDO는 “뉴스에 대한 수요는 여전히 크지만 독자들을 우리의 웹사이트로 끌어들이지 못하고, 수익화로 연결짓지 못하는 게 문제”라고 지적했다.

3사는 독자들의 충성도를 층위별로 나누는 한편, 이른바 ‘무관심층’의 접근성을 높이는 데 주력했다고 밝혔다. 포펄 CDO는 “틱톡 등 소셜미디어로 채널을 다각화하고 무료로 볼 수 있는 기사 수를 늘려 독자가 직접 콘텐트의 질을 확인하는 방식으로 자사 플랫폼에 대한 벽을 낮췄다”고 말했다. 히로유키 CDIO는 “TV광고 등으로 브랜딩을 강화하는 한편 사용자환경(UI)을 최적화한 애플리케이션으로 독자들이 기사를 보는 데 불편함이 없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17581079964198.jpg

와타나베 히로유키 닛케이신문 CDIO가 17일 오후 서울 중구 롯데호텔서울에서 열린 중앙일보 창간 60주년 기념 글로벌 미디어 컨퍼런스에서 강연하고 있다. 김성룡 기자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유료 구독자의 만족도를 높인 것도 공통점이었다. 텍스트로 된 콘텐트를 제공하는 것만으로는 경쟁력이 없다는 판단에서다. 김영훈 총괄은 “예컨대 교육 콘텐트인 ‘헬로! 페어런츠’의 경우 기사와 함께 구독자에게 온라인 컨퍼런스, 글쓰기 교실 등을 열고 연재물 묶은 피디에프(PDF) 파일을 제공하기도 했다”고 말했다. 히로유키 CDIO는 “우리는 자사가 갖고 있는 조간, 석간신문뿐 아니라 잡지까지 모두 볼 수 있는 상품이라는 점을 강조했다”고 말했다.

AI는 다양한 방안으로 활용하라고 조언했다. 히로유키 CDIO는 “애스크(Ask·물어봐라), 닛케이‘ 서비스를 통해 AI가 과거 닛케이 기사를 바탕으로 쉽게 기사를 해설해주고 있다”고 했다.

18일엔 매기 강, 이수만 등 강연  

17581079966467.jpg

중앙일보 창간 60주년 글로벌 미디어 컨퍼런스가 17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렸다. 데이1 세션2 혁신키트에서 상품 중심 뉴스 혁신의 조건을 주제로 후안 세뇨르 이노베이션미디어컨설팅(IMC) 대표가 발표하고 있다. 장진영 기자

한편 이날 컨퍼런스에는 경향신문, 내일신문, 매일경제신문, 연합뉴스, 한겨레, 한국일보 등 국내 주요 종합일간지와 통신사 발행인 11명, 온라인신문협회에 소속된 19개 언론사 관계자들이 자리해 한·미·일 주요 언론의 전략을 살폈다. 미디어 종사자가 아닌 일반인도 다수 참석했다. NOL 인터파크를 통해 판매된 이 날 102석 분량의 티켓은 매진됐다.

컨퍼런스 이튿날인 18일은 경계를 허물고 새로운 가치를 창조한 글로벌 리더들이 강연에 나선다. 홍정도 중앙그룹 부회장과 마크 톰슨 CNN 최고경영책임자(CEO)가 ‘하이브리드 시대, 저널리즘의 길을 묻다’라는 주제로 대담한다. ‘케이팝 데몬 헌터스’를 만든 매기 강 감독, K콘텐트의 가치를 알린 봉준호 영화감독과 이수만 A20 엔터테인먼트 키프로듀서 등도 강연에 나선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4,215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