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KT 소액결제 사건’ 용의자 2명 체포

본문

17581294762945.jpg

‘KT 휴대전화 소액결제 사건’의 중국인 용의자가 검거됐다. [사진 경기남부경찰청]

지난달 말부터 이달 초까지 경기도 광명시와 서울 금천구 등지에서 발생한 ‘소형 기지국 해킹 및 소액결제 사건’의 용의자 2명이 경찰에 붙잡혔다. KT 이용자 휴대전화 정보 해킹과 소액결제한 현금 수거책 역할을 분담한 이들은 모두 중국 국적 동포였다. 경찰은 이들이 “서로 모르는 사이”라고 진술함에 따라 이들에게 역할을 분담해 범행을 지시한 국내외 배후 조직이 있을 것으로 보고 수사하고 있다.

경찰은 또 이들이 사용한 장비의 출처와 KT 휴대전화 해킹 방법을 조사하는 한편, 이번 범행이 조직적으로 이뤄졌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추가로 수사할 계획이다.

경기남부경찰청 사이버수사과는 정보통신망법 위반(침해) 및 컴퓨터 등 사용사기 혐의로 중국 동포 A씨(48)를, 컴퓨터 등 사용사기 및 범죄수익 은닉규제법 위반 혐의로 B씨(44)를 지난 16일 각각 검거했다고 17일 밝혔다.

경찰에 따르면 A씨는 16일 오후 2시3분쯤 인천공항에서 중국에서 한국으로 입국하려다가 경찰에 긴급체포됐다. 별도로 B씨는 같은 날 오후 2시53분쯤 서울 영등포구 일대에서 검거됐다.

불법 기지국 장비엔 통신설비·안테나…차에 싣고 KT폰 해킹

이들은 모두 중국 국적이지만 “서로 모른다”고 진술하는 등 공모 관계는 현재로선 확인된 게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모두 합법 체류자 신분으로 일용직 근로자로 일했다고 한다. 경기남부청 관계자는 “현재까진 두 사람이 KT와 관련된 이력 역시 밝혀진 바 없으며, 정보통신(IT) 업종에 종사했는지도 확인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들은 현재 수원시 영통경찰서 유치장에 입감된 상태다.

A씨는 지난달 말부터 불법 초소형 기지국 장비(펨토셀)를 승합차에 싣고 다니면서 수도권 특정 지역 KT 이용자들의 휴대전화를 해킹해 모바일 상품권을 구매하는 등의 방식으로 소액결제한 혐의를 받는다. 경찰은 B씨가 해당 소액결제 건을 현금화하는 등 A씨의 범행에 가담했다고 보고 있다.

경찰은 A씨를 검거하는 과정에서 범행에 사용한 불법 소형 기지국 장비를 확보해 현재 정밀 감식 중이라고 밝혔다. 해당 장비는 통신에 쓰이는 설비와 안테나 등으로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이들이 어떤 방법으로 정보를 탈취하고, 소액결제까지 할 수 있었는지 등 구체적인 범행 방식은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다만 해외에서는 이번 사례와 유사한 범행이 여럿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4월 일본에서는 도쿄와 오사카 등지에서 차량 트렁크에 불법 기지국 장비를 싣고 다니며 데이터 연결을 끊거나 스미싱 문자를 발송한 사례가 있었고, 같은 달 태국에서도 동일한 수법으로 쇼핑몰 고객에게 대량 스미싱 문자를 보낸 조직원이 검거되기도 했다.

정춘생 조국혁신당 의원실이 경기남부청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15일 기준 KT 소액결제 피해자는 200명이며, 피해액은 1억2778만원이다. 황정아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KT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5일부터 이달 3일까지 피해자는 모두 278명, 결제 건수는 527건으로 알려졌다. 피해액은 1억7000여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이번에 검거된 이들이 지난달 27일부터 이달 5일까지 경기도 광명과 서울 금천구에서 발생한 피해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 이후에 경기도 부천과 과천, 인천 등지에서 발생한 피해와 연관이 있는지도 조사 중이다. 경기남부청 관계자는 “(광명·금천 외에) 다른 지역 피해 관련 여부도 수사 예정”이라고 했다.

경찰은 용의자 A씨와 B씨에 대해 도주와 증거인멸 가능성을 고려해 구속영장을 신청하는 한편 범죄에 사용된 장비를 분석하고, 범행이 조직적으로 이뤄졌을 가능성도 집중적으로 수사할 방침이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4,227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