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난임시술 2년새 30% 늘었는데…난임심리센터는 8개 시·도에만
-
3회 연결
본문

임산부 이미지. 사진 셔터스톡
난임 시술 건수가 최근 2년 사이 30% 가까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난임 환자도 증가했는데, 남녀 모두 40세 이상에서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그에 비해 난임 심리상담센터는 전국 17개 시·도 중 8곳에 불과할 정도로 인프라가 부족한 실정이다.
18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서영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보건복지부와 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체외수정·인공수정 등의 난임시술 건수는 2022년 20만1611건에서 지난해 25만9740건으로 2년 사이 28.8% 증가했다.
환자 수도 2022년 14만2572명에서 지난해 16만1083명으로 13% 증가했다. 연령대별로 보면 35~39세 여성 환자가 지난해 3만3885명으로, 가장 큰 비중(전체 환자의 21%)을 차지했다.
35~39세보다는 숫자가 적지만, 40세 이상에서 증가율이 두드러졌다. 40세 이상 여성 환자는 2022년 2만1563명에서 지난해 2만4928명으로 15.6% 증가했다. 40세 이상 남성 환자도 같은 기간 2만4979명에서 지난해 2만8402명으로 13.7% 늘었다. 임신 연령이 점차 늦춰지면서 상대적으로 고령인 이들의 난임 치료 수요도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심리적 회복도 필요한 난임…국가가 지원해야”
이처럼 난임 환자가 늘어나는 현실에 비해, 난임으로 인한 우울증 등을 상담할 인프라는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난임·임산부심리상담센터는 중앙센터 1곳을 포함해 전국 12개소가 설치·운영 중이다. 그러나 서울에만 4곳이 집중돼있고, 전국 17개 시·도 중 센터가 하나도 없는 곳도 9개에 달할 정도로 지역별 편차가 큰 실정이다. 이재명 정부는 국정과제에 난임·임산부 심리상담센터 설치 지원을 포함해, 매년 최소 2개소 이상을 추가 설치하겠다는 계획이다.
서영석 의원은 “난임은 신체적 치료뿐 아니라 심리적 회복이 반드시 병행돼야 하는 영역임에도, 현재 상담센터 인프라는 수요에 한참 못 미친다”며 “고령 임신과 반복 실패로 인한 난임 부부의 우울·불안은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가 책임지고 지원해야 할 사회적 과제”라 밝혔다. 이어 “복지부는 센터 확충과 전문 인력 배치, 상담 접근성 제고를 위한 예산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