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현대차 사장 "미 車관세 15% 적용 조속한 한미 합의 기대"

본문

17582338994927.jpg

호세 무뇨스 현대차 사장이 18일(현지시간) 이날 미국 뉴욕에서 글로벌 투자자와 애널리스트 등을 상대로 열린 '최고경영자(CEO) 인베스터 데이' 행사에서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호세 무뇨스 현대차 사장이 한국산 자동차에 대한 미국의 관세율을 현행 25%에서 15%로 낮출 수 있도록 한미 양국이 무역협상 후속 합의에 빨리 도달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또 미국 조지아주의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합작공장 건설 현장에서 한국인 근로자 300여명이 체포됐다가 풀려난 사건과 관련해 전문 기술인력 단기출장에 대한 한미 간 해결책 도출을 기대했다.

무뇨스 사장은 18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맨해튼에서 글로벌 투자자와 애널리스트 등을 상대로 열린 '2025 최고경영자(CEO) 인베스터 데이'에서 최근 현안 및 중장기 전략을 발표했다.

무뇨스 사장은 미국 관세의 재무 영향에 관한 질의에 "오늘 제공한 실적 가이던스는 25% 관세율을 기준으로 한 것"이라며 "관세율이 15%로 내려온다면 기존 가이던스를 유지할 수 있을 정도로 근접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차는 이날 행사에서 올해 연결 매출액 성장률 목표를 올해 초 제시한 3.0∼4.0%에서 5.0∼6.0%로 상향했지만, 연결 부문 영업이익률 목표는 관세 영향을 반영해 기존 7.0∼8.0%에서 6.0∼7.0%로 하향 조정했다.

한국은 지난 7월 자동차 관세를 25%에서 15%로 인하하는 방안을 미국과 합의했으나 관세 협상 후속 협의를 둘러싸고 난항을 겪어 여전히 25% 관세가 유지되고 있다. 반면 일본은 지난 16일부터 미국에 수출하는 자동차 관세를 15%로 인하해 적용받고 있다.

무뇨스 사장은 또 최근 미 이민당국에 구금됐다 풀려난 한국인 근로자들에 대해 "이들 다수가 현대차 운영을 지원하는 조지아 공장에서 첨단 배터리 생산 기술의 최종 보정 및 테스트 작업을 담당하고 있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한미가 단기출장, 특히 전문 기술 인력에 대한 상호 유익한 해결책을 도출하기를 희망한다"라고 밝히면서 "협력업체 직원들의 억류로 인해 직원들과 가족들이 겪었을 스트레스와 어려움을 이해하며, 그들이 안전하게 한국으로 돌아가 안도하고 있다"라고 덧붙였다.

무뇨스 사장은 "현대차는 지난 40년간 미국 사회의 일부였고 조지아주에선 15년 이상 사업을 운영해왔다"며 "조지아주 신규 공장은 이 지역 역사상 최대 규모의 경제 개발 프로젝트로, 수천 가구에 장기적인 경제적 혜택을 제공하면서 지역 변화에 기여하고 있다"라고 강조했다.

현대차는 이날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둔화), 관세 등 복합위기 돌파를 위해 향후 5년간 77조300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2030년 글로벌 판매 목표를 555만대로 잡고, 60%에 해당하는 330만대를 전기차(EV), 하이브리드차(HEV) 등 친환경차로 채우겠다고 설명했다.

무뇨스 사장은 현대차 최고운영책임자(COO) 겸 북미권역 본부장을 역임한 뒤 지난해 11월 외국인으로는 처음으로 현대차 대표이사 사장에 올랐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4,568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