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文 "김정은 결단이 평화의 열쇠…용기 다시 한번 보여달라" [9·19 선언 7주년…
-
3회 연결
본문

19일 오전 경기도 파주시 캠프 그리브스에서 열린 9ㆍ19 평양공동선언 7주년 기념 토론회에서 패널들이 토론을 마친 뒤 기념 촬영하고 있다. 왼쪽부터 김연철 전 통일부장관, 정동영 통일부장관, 정세현 전 통일부장관, 이재정 전 통일부장관, 김동연 경기지사, 서훈 전 국가안보실장. 사진 경기도
문재인 전 대통령이 19일 경기 파주시 캠프 그리브스에서 열린 ‘9·19 평양공동선언 7주년 기념식’ 기념식에 참석해 “김정은 위원장을 연내에 만나고 싶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북미 대화 의지를 환영하며 이른 시일 내에 성사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그는 “김 위원장의 결단이 지금 이 시기에도 한반도 평화의 열쇠가 될 수 있다. 김 위원장의 용기 있는 결단을 다시 한번 보여주길 기대한다”고 했다.
이날 행사에 김정숙 여사와 함께 참석한 문 전 대통령은 “이재명 대통령은 한미 정상회담에서 트럼프 대통령에게 피스메이커가 되어 달라고 요청했고, 자신은 그 길을 함께 열어가는 페이스메이커가 되고 싶다고 했다”면서 “연내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만나고 싶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의사표시와 한국 정부의 적극적인 역할에 대한 공감대를 함께 이끌어낸 탁월한 제안이었다”고 평가하기도 했다.
행사에는 우원식 국회의장과 문희상 전 국회의장, 정청래 대표를 비롯한 민주당 의원 20여 명, 김경수 지방시대위원장, 임종석 전 청와대 비서실장 서훈 전 국가안보실장 등 200여 명이 참석했다.
김동연 '3대 평화경제전략' 제시
이 자리에서 김동연 경기지사는 ‘3대 평화경제전략’을 제시했다. 김 지사는 첫째는 ‘평화에너지 프로젝트’다. 그는 “문재인 정부의 ‘DMZ(비무장지대) 내 솔라파크’ 조성 방안과 얼마 전 기본사회지방정부협의회가 중앙정부에 건의한 ‘DMZ 평화에너지벨트 구축’ 방안의 연장”이라며 “DMZ와 접경지에 대규모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는 사업”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평화에너지 프로젝트’로 반도체·AI(인공지능) 등 첨단산업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고, 접경지와 경기북부 도민들에게 그 이익을 공유할 것”이라며 “경기도가 이런 방안과 제안을 앞장서 적극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경기도와 통일부, 민주정부 한반도평화 계승발전협의회가 공동으로 주최하고 프리드리히 애버트 재단이 후원하는 ‘9ㆍ19 평양공동선언 7주년 기념행사’가 19일 오전 파주 캠프 그리브스에서 열렸다. 김동연 경기지사가 ‘3대 평화경제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사진 경기도
둘째로는 경기북부 평화경제특구 내 기후테크 클러스터 구축을 들었다. 셋째는 최근 자신이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미군 반환공여구역 개발이라며 “‘평화의 플랫폼’ 캠프 그리브스는 반세기 동안, 미 2사단 506연대가 주둔하던 곳이었다. 경기도에는 이곳처럼 개발 가능한 반환공여지 스물두 곳이 있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이재명 정부의 출범과 함께 반환공여지 개발에 새로운 전기가 마련되었다”며 “경기도가 세운 주도성, 전향성, 지역 중심 등 3대 원칙에 따라 할 수 있는 일부터 힘차게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경기도와 통일부, 민주정부 한반도평화 계승발전협의회가 공동으로 주최하고 프리드리히 애버트 재단이 후원하는 ‘9ㆍ19 평양공동선언 7주년 기념행사’가 19일 오전 파주 캠프 그리브스에서 열렸다. 기념식에 참석한 문재인 전 대통령(오른쪽)과 김동연 경기지사(왼쪽). 사진 경기도
정동영 통일부장관 “9·19 군사합의 복원돼야”
정동영 통일부장관과 정세현-이재정-김연철 전 통일부장관 등 역대정부의 통일정책 수장이 한자리에 모여 김동연 지사와 함께 한반도 평화를 주제로 특별토론을 했다. 정동영 통일부 장관은 “적어도 올해 안에는 9·19 군사합의가 선제적으로 복원돼야 한다”며 “정부 내 협의가 진행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달 광복절 경축사에서 9·19 군사합의의 선제적·단계적 복원 방침을 밝힌 바 있는데, 정부가 구체적인 이행을 준비하고 있다는 것이다. 문재인 정부 때인 2018년 남북이 체결한 9·19 군사합의는 ▶육상 및 해상 완충구역 내 포사격 및 기동훈련 금지 ▶비행금지구역 설정 ▶JSA 비무장화 등 내용을 담고 있다.
윤석열 정부는 2023년 11월 북한의 정찰위성 발사에 대응해 9·19 군사합의 중 남북 접경지에 비행금지구역을 설정한 조항의 효력 정지를 결정했고, 이에 북한은 군사합의 전면 파기를 선언했다. 이후 오물풍선 살포와 위치정보시스템(GPS) 교란 공격 등 북한의 대남 도발이 이어지자, 윤석열 정부는 지난해 6월 군사합의 전면효력 정지를 결정했다.
민간인통제선 내 캠프 그리브스는 과거(1953년 정전협정~2007년) 반세기 넘게 주한미군의 최전방 군사기지로 사용됐던, 분단과 대결의 상징이었던 곳이다. 이후 2007년 한국 정부로 반환되고, 2022년 경기도로 소유권이 이전되면서 현재는 평화와 생태 공간으로 거듭난 곳이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