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빵·커피·달걀 다 올랐다...통신요금 인하 효과 끝나니 '苦물가&apos…
-
17회 연결
본문

2일 서울 시내 대형마트 달걀 판매대 모습. 연합뉴스
가공식품과 축·수산물 등 먹거리 가격 상승세가 이어지면서 9월 소비자물가가 두 달 만에 다시 2%대로 올라섰다. 생활물가지수는 전년 대비 2.5% 상승해 체감 물가 부담이 한층 커졌다.
국가데이터처가 2일 발표한 ‘9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2020년=100)는 117.06으로 전년 같은 달보다 2.1% 상승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6·7월 2%대를 유지하다가, 8월에는 SK텔레콤 해킹 사태로 인한 통신비 인하 효과로 1.7%까지 낮아졌지만 두 달 만에 다시 반등했다.
먹거리 물가가 여전히 가파르게 오르고 있다. 9월에도 가공식품과 축·수산물 가격이 상승세를 이어갔다. 가공식품 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4.2% 올라 전체 물가를 0.36%포인트 끌어올렸으며, 특히 빵(6.5%)과 커피(15.6%) 등에서 상승폭이 두드러졌다. 축산물과 수산물 역시 각각 5.4%, 6.4% 오르며 물가 상승을 견인했다. 세부적으로는 국산 쇠고기(4.8%), 달걀(9.2%), 고등어(10.7%) 등이 1년 새 크게 올랐다. 반면 채소류 가격은 기저효과 등의 영향으로 –12.3% 하락해 전체 농산물 물가는 1.2% 내렸지만, 쌀(15.9%)과 찹쌀(46.1%) 등 일부 품목은 여전히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외식 물가가 3.4% 오르고 외식을 제외한 물가도 2.6% 상승하면서 개인서비스 물가가 전체적으로 2.9%나 뛰었다. 배달 음식비와 여행 관련 비용이 함께 오르며 서비스 물가 상승을 견인했다.
이 영향으로 국민 체감물가를 반영하는 생활물가지수도 2.5% 상승했다. 전달(1.5%)보다 상승 폭이 크게 확대돼, 실제 소비자들이 느끼는 물가 부담이 한층 더 커진 셈이다.
일각에서는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서비스 물가를 끌어올렸다는 지적도 나왔지만, 데이터처는 그 영향이 제한적이라고 분석했다. 이두원 데이터처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전년 대비로 보면 배달료 인상, 피자·햄버거 세일 종료, 원재료비 상승 등이 주된 요인이지, 소비쿠폰이 물가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보긴 어렵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먹거리 물가의 상승세가 이어지는 만큼 관련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관리 수준을 높이겠다는 방침이다. 구윤철 경제부총리는 “무엇보다 장바구니 물가를 최우선적으로 관리하겠다”며 “성수품 공급 확대와 할인지원, 전통시장 온누리상품권 환급 등 추석 민생대책을 차질 없이 마무리하고, 김장철에 대비해 10월 말부터 김장 재료 할인 지원도 선제적으로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