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충청 이기면 지방선거 승리"… 국힘 또 싹쓸이? 與 강훈식 등판? [미리보는 2…
-
3회 연결
본문

김영환 충청북도 도지사가 23일 국회에서 열린 오송 지하차도 참사 진상규명과 재발 방지 대책 마련을 위한 국정조사 청문회에 출석해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달 10일 국회에서 열린 ‘오송 참사 국정조사’에선 내년 6월 충청권 지방선거의 전초전이 펼쳐졌다.
▶이해식 더불어민주당 의원=“충북이 (사고에 대비해) 정기 점검을 하지 않았다.”
▶김영환 충북지사=“정치 탄압이다.”
민주당이 주도해 개최한 이날 국정조사엔 김영환 지사와 윤희근 전 경찰청장이 불려 나와 진땀을 뺐다. 오송 참사는 2023년 7월 충북 흥덕구에서 발생한 미호강 범람 사고로 14명이 숨지고 16명이 다친 사고다. 안타까운 사고지만 참사 2년 2개월 만에 열린 국정조사를 두고 정치권에선 “지방선거용 아니냐”(야권 관계자)는 말이 나왔다. 김 지사뿐 아니라 윤 전 청장이 국민의힘의 유력 충북지사 후보군으로 거론되기 때문이다. 그런 까닭에 서범수 국민의힘 의원은 “특정인을 타게팅하기 위한 국정조사”라고 반발하기도 했다.
이처럼 지방선거를 8개월여 앞두고 충청권 민심을 잡기 위한 여야의 기 싸움이 치열해지고 있다. 충청권은 대표적인 스윙보터(swing voter) 지역으로 여야가 스스로 “우리 텃밭”이라고 으스대기 어려운 곳이다. 역대 대선에선 ‘이기는 후보’에만 표를 몰아줘 “충청을 이기면 승리한다”는 ‘중원의 법칙’이라는 말까지 있을 정도다. 충청 지역 현역 의원은 “충청도는 삼국 시대부터 ‘어디 출신이냐’고 물으면 ‘알잖유’라고 대답한다는 농담도 있다”며 “충청도민의 마음은 끝까지 모른다”고 말했다.

김태흠 충남지사 폭우 피해 대책 브리핑. 충남도청 제공
일찍이 신경전이 달아오른 충북지사는 후보군이 즐비하다. 국민의힘에선 김 지사가 재선에 도전하는 가운데 윤 전 청장이 후보로 거론되고, 조길형 충주시장은 이미 출마를 공식화했다. 민주당에선 노영민 전 대통령 비서실장, 도종환 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송기섭 진천군수, 신용한 지방시대 부위원장 등이 오르내리고 있다. 충북 지역 민주당 의원은 “충북 현역 의원이 대부분 초선이어서 유일한 재선인 임호선 의원에게도 출마 권유가 많은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충남지사는 중량급 후보들이 뛰면서 격전지로 떠올랐다. 국민의힘 3선 의원 출신이자 현역인 김태흠 충남지사가 자리를 지키고 있는 가운데, 국회 국방위원장인 성일종 국민의힘 의원은 주변에 “출마할 뜻이 전혀 없다”는 뜻을 밝혔다고 한다. 민주당에선 주요 당직을 맡고 있는 주자들이 출마를 고심하고 있다. 민주당 수석대변인인 박수현 의원, 원내수석부대표인 문진석 의원 등이 대표적이다. 두 의원은 주변에 “쓰임이 있다면 나갈 생각”이라며 출마 의사를 내비쳤다고 한다.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도 당초 후보군으로 거론됐지만 현재로선 “더 큰 판에 나서지 않겠느냐”(민주당 재선 의원)는 관측이 우세하다. 강 실장은 서울시장 후보 차출설이 나오고 있다. 양승조 전 충남지사는 이미 재도전 의사를 밝혔다.

박수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왼쪽), 문진석 민주당 의원(오른쪽)
국민의힘 출신의 현역인 이장우 대전시장에 맞설 대항마로 민주당에선 장철민·박정현 의원, 허태정 전 대전시장이 거론되고 있다. 장 의원은 지난 7월 “대전에 새롭고 젊은 정치인이 필요하다”며 이미 출사표를 던졌고, 대전시당위원장인 박 의원도 지난달 언론 인터뷰에서 시장 후보군으로 거론되는 데에 “너무 좋다”며 출마 여지를 남겼다. 허 전 시장은 민주당 원외 조직인 ‘더민주혁신회의’를 발판으로 지지층 표심을 끌어모으고 있다. 스트레이트뉴스가 조원씨앤아이에 의뢰해 지난달 6~7일 대전시장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이장우 시장과 허태정 전 시장은 16.3% 지지를 받아 동률을 기록했다. 이어 장철민 의원(10.8%), 이상민 국민의힘 대전시당위원장(10.0%), 박정현 의원(6.7%) 순이었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김경진 기자
세종시장은 국민의힘에선 최민호 현 세종시장과 함께 이준배 국민의힘 세종시당위원장, 류제화 세종갑 당협위원장의 이름이 오르내린다. 민주당에선 이춘희 전 세종시장, 조상호 전 세종시 부시장, 고준일 전 세종시의회 의장, 김수현 전 세종참여연대 사무처장 등이 물망에 오르고 있다.
대전과 충남의 행정 통합은 충청권 제일의 화두다. 내년 지방선거 전 통합이 이뤄지면 대전시장과 충남지사 중 한 자리는 사라진다. 지난해 11월 대전광역시와 충청남도는 지방 소멸을 막기 위한 취지로 35년 만에 행정 통합을 추진하기로 합의했다. 지난달 25일 충남 서산-태안 지역구인 성일종 의원은 ‘대전·충남 행정 통합 특별법’을 발의했다. 특별법에는 대전·충남 특별시의 설치·운영, 자치권 강화·국가산업 진흥 등의 내용을 담았다.
하지만 민주당에서는 “권한 정리가 안 된 상황에서 껍데기만 통합하는 건 반대”(장철민 의원)라는 목소리가 커서 지방선거 전 행정 통합은 쉽지 않다는 전망이 나온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