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휴대전화도 양자역학 덕분"… 수상자 3인은 누구?
-
4회 연결
본문

2025년 노벨물리학상 3인. AP=연합뉴스
올해 노벨물리학상 수상자인 존 클라크(83·영국), 미셸 드보레(72·프랑스), 존 마티니스(67·미국)는 양자 세계의 고유한 특성이 거시 시스템에서도 나타날 수 있음을 증명해 이론의 영역이었던 차세대 양자기술을 현실에 구현할 기반을 닦았다.
노벨위원회는 7일(현지시간) 수상자 선정 이유로 "새로운 규모에서 양자역학을 접하도록 한 연구"라고 밝혔다. 이들의 연구 이전에 양자역학적 효과는 원자나 전자 등 미시 규모에선 잘 구현되지만 눈에 보이는 거시 세계에서는 드러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하지만 수상자들은 '양자 터널링', '에너지 양자화' 등 양자역학으로 규명되는 효과가 거시적 시스템에서도 구체적으로 드러난다는 사실을 초전도체로 만들어진 전기회로가 설치된 칩을 이용해 보여줬다.
해당 실험은 지난 1984~1985년에 이뤄졌다고 위원회 측은 밝혔다. 40년이 지난 연구지만 양자 기술 개발의 기반을 닦은 공로를 인정받은 것이다. 클라크 교수는 "(수상 소식에) 정말 깜짝 놀랐다. 우리의 발견은 어떤 면에서 양자 컴퓨팅의 기반이라 할 수 있다"며 "휴대전화가 작동하는 근본적인 이유 중 하나도 이 모든 연구 덕분"이라고 말했다.
클라크가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교수로 재직할 때 드보레는 박사후연구원, 마트니스는 박사과정생으로 만났다. 현재 드보레는 미국 예일대 교수, 마트니스는 UC샌타바버라 명예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이 중 드보레와 마트니스는 산업계 현장에서도 선도 연구를 이끄는 중이다. 드보레는 구글의 퀀텀 AI 수석 과학자로 겸직 중이고, 마트니스의 경우 2014년 구글에 영입돼 2020년까지 인공지능(AI) 관련 양자 컴퓨팅 개발을 맡았다. 이후 마트니스는 '실리콘양자컴퓨팅'이라는 스타트업에 합류했고 2022년엔 양자 기술회사 '큐오랩' 공동 설립자로 이름을 올렸다.
이번 수상은 노벨위원회가 "올해 100주년인 양자역학 탄생을 기념할 수 있어 기쁘다"고 언급한 것처럼 이를 기념하는 의도가 반영됐다는 해석도 나온다. 정연욱 성균관대 물리학과 교수는 "존 클라크가 노쇠해서 수상 가능성이 있었다"고 분석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