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국정자원 화재' 행정 전산망 마비 12일째…복구율 여전히 20…

본문

btafabcbb6ac05ea45eb9ae73bcbe7269e.jpg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현장에 투입된 관계자들이 추석연휴지만 소실된 테이터 등 시스템 복구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김성태 객원기자

추석 연휴 기간 정부가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복구에 나섰지만, 행정정보시스템의 복구율은 20%대에 머무르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8일 새벽 6시 기준 전체 시스템 647개 가운데 164개를 정상화했다”고 발표했다. 국가데이터처의 일부 시스템을 복구하면서 7일 오후 대비 5개 시스템을 추가로 정상화했다.

구체적으로 7일 오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인터넷우체국 택배,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 내부 메일시스템, 중소기업벤처부 기업지원플러스, 행정안전부 하모니시스템을 복구했고, 8일 오전 문화체육관광부 내부 업무포털(나루)를 추가로 복구했다.

행정정보시스템 5개 추가 정상화

btdc25fcd236cfb8844f8e3da3122031b9.jpg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현장에 투입된 관계자들이 소실된 테이터 등 시스템 복구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 김성태 객원기자

지난달 26일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원 전산실에서 화재가 발생한 이후, 정부는 12일째 수습·복구 작업을 진행 중이다. 연휴 기간에도 민간 전문가와 연구 기관, 공무원 등을 투입해 화재로 피해를 입은 시스템을 복구하고 있다. 특히 추석 연휴가 시작된 전날부터 공무원 220명과 관련 사업자 상주 인원 570명, 기술지원·분진제거 전문인력 30명 등 약 800여명의 인원을 투입했다.

특히 정부는 개천절·추석·한글날에서 주말로 이어지는 연휴 기간을 ‘복구의 골든타임’으로 보고 있다. 공공기관이나 민원 서비스 이용이 상대적으로 줄어드는 시기에 복구율을 최대한 끌어올려야, 연휴가 끝난 뒤 국민이 체감하는 불편과 행정 공백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연휴 첫날인 지난 3일 하루 13개 시스템을 복구했고, 7일까지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가동을 중단한 48개 정부 온라인 시스템을 추가로 복구했다. 이어 8일에도 5개 시스템을 추가로 정상화하면서 복구 비율을 25.34%까지 끌어올렸다.

특히 대국민 민원·행정 업무에 파급효과가 큰 1등급 시스템은 36개 중 22개(61.1%)를 복구하는 데 성공했다. 이용자수·파급효과 등에 따라 국가 행정정보시스템은 1~4등급으로 분류한다.

96개 시스템 대구 이전 추진

bt9c5b621951e3d727eedd28c5e6dbd0db.jpg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현장을 방문한 경찰. 김성태 객원기자

화재로 직접 피해를 본 시스템 96개는 오는 28일 가동을 목표로 대구센터 이전을 추진 중이다.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현장상황실장인 김민재 행정안전부 차관은 8일 오후 2시 대구센터를 방문해 시스템 이전 준비 상황을 점검한다. 대구로 이전하는 시스템 재구축에 필요한 민관협력형 클라우드(PPP)의 준비 상황을 살필 예정이다.

대구센터의 UPS(무정전전원장치)와 배터리의 관리상황도 점검한다. 김민재 차관은 “국민 불편을 이른 시일 내에 해소할 수 있도록 민간 클라우드 기업과 협업해 시스템 복구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같은 날 오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원에 방문해 복구 현황을 점검할 예정이다. 윤 장관은 “7일간의 연휴를 정부 시스템 복구의 골든타임으로 삼아 비상한 각오로 복구 속도를 높이겠다”며 “정부 서비스의 근본적 안전성 강화를 위해 국가 주요 시스템·운영시설의 안정성을 정비하고 개선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878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