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포켓몬·마리오 SNS서 우후죽순…오픈AI, 저작권 논란 터졌다 [팩플]
-
5회 연결
본문

샘 올트먼 오픈AI CEO. AFP=연합뉴스
오픈AI의 차세대 동영상 생성 인공지능(AI) 모델 ‘소라(Sora) 2’를 두고 저작권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미국영화협회(MPA)에서 지난 6일(현지시간) “소라2가 저작권 있는 콘텐트를 무단 사용하고 있다”는 문제제기를 하면서다.
뭐가 문제야
오픈AI는 지난달 30일 소라2를 적용한 영상 피드 소셜미디어(SNS)인 ‘소라’를 출시했다. 소라2에는 원 저작자가 지식재산권(IP) 사용 금지를 별도로 신청해야 AI가 해당 캐릭터를 동영상 생성에 사용하지 않는 ‘옵트 아웃’(opt-out)방식을 적용했다. 오픈AI는 이 지침을 영화 제작사와 연예기획사 등에 소라2 모델 출시 열흘 전부터 고지했다.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는 블로그를 통해 옵트 아웃 방식이 “저작권자에게 더 세밀한 통제권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지만, 월트디즈니·넷플릭스·파라마운트 등의 회원사를 보유한 MPA는 반발했다. 찰스 리브킨 MPA 협회장은 성명을 통해 “소라2가 출시된 뒤 영화, TV 프로그램 등에 나온 캐릭터 저작권을 침해하는 영상이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다”며 “저작권 침해를 방지할 책임은 권리자가 아니라 오픈AI 자신에게 있다는 점을 인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피해 사례는?
이미 소라 앱에는 일본 닌텐도의 주력 IP인 포켓몬, 마리오카트 등 인기 캐릭터를 이용해 생성한 AI 영상들이 우후죽순 제작돼 떠돌고 있다. 유명인의 초상권을 침해하는 ‘딥페이크(AI 위조)’ 영상도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다. 틱톡처럼 숏폼(짧은 영상) 중심의 SNS인 소라 앱 사용자가 늘수록, AI로 만든 숏폼 영상들은 더 빠르게 번져나갈 가능성이 크다. 뉴욕타임스(NYT)는 2일(현지시간) “소라가 최근 SNS를 뒤덮는 ‘AI 슬롭’(AI slop·저품질의 AI 콘텐트) 영상들을 더욱 부추길 수 있다”고 지적했다.

오픈AI가 지난달 30일 공개한 영상 생성AI '소라2'를 활용해 제작된 콘텐트. 닌텐도의 '마리오카트'를 이용했다. 소라 앱 캡처
곳곳에서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자 오픈AI는 한 발 물러났다. 샘 올트먼 CEO는 6일 연례 개발자 회의에서 “(소라 앱에서 나오는 수익을) 원 저작자와 공유하는 방법을 검토 중”이라며 “앞으로 몇 달 간 많은 시도를 해보겠다”고 밝혔다.
앞으로는
최대 동영상 SNS 플랫폼 틱톡이 미국에서 매각되는 틈을 노린 동영상 SNS 경쟁은 가속화될 전망이다. 오픈AI가 저작권 논란을 감수하고 영상 생성 AI와 이를 활용한 SNS 앱을 빠르게 내놓은 것도 이 때문이다. 앞서 메타도 메타AI 앱에 ‘바이브’(Vibes)라는 영상 앱을 추가하고, 인스타그램 첫 화면에 숏폼 서비스인 릴스를 띄우는 식의 개편을 진행한 바 있다. NYT는 2일 기술업계 임원들의 말을 인용해 “AI 동영상 도구가 차세대 SNS의 핵심이 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이 과정에서 AI의 콘텐트 저작권에 관한 ‘공정 이용’(Fair Use)을 둘러싼 법적 논쟁도 가열될 것으로 보인다. 공정 이용이란 저작권 보호 콘텐트를 저작권자 허락 없이도 언론보도, 교육 목적 등 특정 조건 하에 법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허용하는 원칙이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