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한번에 보기도 쉽지 않고, 한번만 보기도 쉽지 않다
-
2회 연결
본문

바스키아 특별전을 기획한 이지윤 숨 프로젝트 대표와 안나 카리나 호프바우어, 디터 부흐하르트 박사(왼쪽부터)가 지난달 18일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의 바스키아 사진 앞에서 포즈를 취했다. 김성룡 기자
“서울에서 바스키아 전시가 열린다고요? 줄 서서 보고 싶군요. 누가 기획했죠? 디터? 그는 바스키아 전문가예요!”
지난달 초 인터뷰한 새러 스즈키 뉴욕 현대미술관(MoMA) 부관장에게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장 미셸 바스키아: 과거와 미래를 잇는 상징적 기호들’이 열린다고 전하자 돌아온 반응이다. MoMA엔 바스키아의 캔버스 작품이 한 점도 없고 종이 작품만 세 점 있다. “바스키아는 패러다임에 도전한 사람이다. 당시엔 많은 이들이 그가 제시한 방향에 어떻게 반응해야 할까 고민했을 거다. 이제는 너무도 귀한 작품이 됐다”고 그는 덧붙였다.
전시 개막 보름 간,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매기 강 감독도, 로봇공학자 데니스 홍 UCLA 교수도 다녀갔다. 미술계 반응은 더욱 뜨겁다. “바스키아 작품을 이렇게 한 번에 보기는 쉽지 않다”며 보니 브레넌 크리스티 CEO도 전시장을 찾았다. 추석 연휴엔 긴 입장 줄이 생겼다.
그래서 정리했다. 큐레이터 3인이 말하는 바스키아 읽기. 바스키아 전시만 35번 넘게 한 오스트리아 미술사가 디터 부흐하르트와 안나 카리나 호프바우어 박사, 그리고 이지윤 숨 프로젝트 총괄감독 얘기다. 안나는 “시간을 넉넉히 잡고 와서 디테일을 보라”며 “바스키아와 한국 작품들의 컴비네이션도 봐 달라”고 말했다. 디터는 “볼 때마다 다른 디테일이 있다. 전시장을 나갈 땐 서아프리카 요루바 신화 속 경계의 신 ‘에슈’(전시장 마지막 작품)가 지켜보고 있음을 기억하라”며 웃었다. 2010년 바젤의 바이엘러 재단 미술관에서 연 바스키아 회고전을 시작으로 2018년 파리 루이뷔통 재단 미술관 전시 등에 그가 있었다.
- 왜 지금 바스키아일까.
- ▶안나: “컴퓨터로 이미지를 검색하면 50개쯤 튀어나올 거다. 여러 이미지를 콜라주하면 새로운 이미지와 정보가 된다. 그게 바로 바스키아의 작업 방식이다. 그에게는 새로움의 에너지가 있다.”
- ▶디터: “바스키아는 미래에서 온 화가다. 아프리카계 미국인 예술가의 시작이기도 하다. 인종주의, 식민주의, 제국주의, 공권력의 폭력 같은 주제를 그림에 녹였다. 강한 정치적 메시지를 담은 예술가가 수퍼스타로 거듭나는 건 오늘날 흔하지만, 그의 시대에는 그렇지 않았다.”
- 바스키아가 예술가로 활동한 건 8년에 불과한데도 3700점 넘게 남겼다.
- ▶디터: “다 빈치가 얼마나 남겼을까? 30~40점에 불과하다. 그러니 숫자가 중요한 것만은 아니겠다. 바스키아는 계속 그렸다. 드로잉은 그에게 액션이었다.”
- 2017년 뉴욕 소더비 경매에서 1982년작 ‘무제’가 1502억원에 팔리며 미국 태생 화가 중 최고가를 기록했다. 왜 이렇게 비싸졌을까.
- ▶디터: “사람들은 그림에서 거울을 보듯 자기만 보는 게 아니라 자기가 속한 시대를 본다. 바스키아 작품 중에 최고는 250점 정도다. 진짜 좋은 작품은 희소하다.”
- 지금 서울에서 열리는 바스키아 전시, 어떤 의미일까.
- ▶이지윤: “이번 전시의 주제는 인간의 보편적 언어. 한국의 반구대 암각화나 고대 벽화 등 언어의 시작부터 돌아본다. 기호와 상징에 관심이 많았던 바스키아였기에, 함께 조망하자는 뜻이다.”
- ▶디터: “20여년 전부터 한국의 컬렉터들은 바스키아를 소장했다. 놀라운 일이다. 한국엔 중요 작품이 3점 이상 있다. 이번 전시에는 리움미술관의 ‘무제(검은 인물)’, 단 한 점을 빌려왔다.”
- 전시를 준비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점은.
- ▶디터: “말하다 보면 끝없을 것 같은데(웃음). 개인소장품이 대부분이라 이 전시를 위해 설득하는 것이 가장 어려웠다. 물론 보험가액이나 운송료 같은 것도 난관이다.”

디터와 안나가 꼽은 ‘미술관 경비원(브로드웨이 멜트다운)’. [사진 바스키아 재단]
이지윤 총괄감독은 앞서 “총 보험가액이 1조4000억원 정도로, 보험사에서 ‘여태껏 한국에서 열린 전시 중 최고가’라고 했다”고 전했다. 전시작 중 딱 한 점을 꼽아달라고 하자 디터와 안나는 ‘미술관 경비원: 브로드웨이 멜트다운’(1983)을 골랐다. 안나는 “많은 이미지가 함께 직조되며 새로운 것을 창출해내는 바스키아 작법의 대표작”이라며 “이 작품을 빌려오다니 우리는 참 운이 좋다”고 덧붙였다.

이지윤 대표가 꼽은 ‘왕이라 불린 에이원(A-One)의 초상’. [사진 바스키아 재단]
이지윤 총괄은 ‘왕이라 불린 에이원(A-One)의 초상’(1982)을 꼽으며 “거리 예술에서 시작해 미술의 새로운 영역을 창출한 바스키아야말로 왕이다. 모든 그림이 그의 자화상과도 같다”고 말했다. 그의 그림에 자주 등장하는 왕관에 대해 디터는 “우리가 중요한 문장에 밑줄을 치듯, 바스키아는 특별한 것에 왕관을 그렸다”고 설명했다. 전시는 내년 1월 31일까지. 오전 10시~오후 7시까지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