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빵·커피값 5년간 40% 가까이 올랐다…먹거리 물가에 칼 빼든 정부
-
6회 연결
본문

8일 국가데이터처에 따르면, 지난달 ‘식료품 및 비주류 음료’ 물가지수는 2020년 9월에 비해 22.9% 상승했다. 이날 서울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이 과일을 고르고 있다. [연합뉴스]
먹거리 가격이 급등하며 ‘체감 물가’를 끌어올리고 있다. 정부도 대응 강도를 높였다.
8일 국가데이터처에 따르면 지난달 ‘식료품 및 비주류 음료’ 물가지수는 2020년 9월보다 22.9% 상승했다. 최근 5년간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16.2%)보다 7%포인트가량 높다. 식료품 및 비주류 음료 물가는 연도별로 2020년 4.4%, 2021년 5.9%, 2022년 5.9%, 2023년 5.5%, 2024년 3.9% 등 꾸준히 올랐다. 품목별로는 빵(38.5%), 과일(35.2%), 우유·치즈·계란(30.7%) 등 값이 최근 5년 동안 크게 치솟았다. 전체 물가상승률은 한국은행의 물가안정목표(2%)에 부합하는 수준인데도 소비자가 체감하기 어려운 건 이런 식품 물가 상승세 때문이다.

김영옥 기자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달 30일 “정부가 기준을 똑바로 만들어서 엄격하게 제시하고, 엄정하게 관리하면 시장이 마음대로 하는 건 통제할 수 있다”며 강력한 대응을 주문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이달 중 CJ제일제당·삼양사·대한제당 등의 설탕 담합 혐의와 관련해 제재 절차(심사보고서 발송)에 착수한다. 밀가루·계란 가격 담합과 가공식품 담합에 대해서도 조사를 진행 중이다. 더 강력한 ‘카드’를 쓸 수도 있다. 가격 조정 명령이다. 기준이 되는 ‘정상 가격’을 판단하기 어려워 실제 집행된 적은 없는데, 이 대통령이 언급하면서 공정위가 검토에 나섰다.
국세청은 지난달 외식 프랜차이즈 가맹본부 등 55개 업체를 상대로 세무조사에 착수했다. 임혜영 기획재정부 물가정책과장은 “농·축·수산물 수급 조절, 할인 지원, 할당 관세 등 단기 대책과 함께 경쟁 촉진, 유통구조 효율화 등 구조적인 대책을 병행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목록 0